d라이브러리
"소장"(으)로 총 1,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꿀꺽 삼키면 치료가 싹~!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콜록콜록, 훌쩍훌쩍~! 감기에 걸려서 그런지 힘이 하나도 없고, 꾸벅꾸벅 잠만 와. 그런데 갑자기 코끝이 간질간질해졌어. 역시 재채기가 나려는 건가 했는데…, 그게 아니었어! 코끝에 작은 로봇이 서 있지 뭐야? 그런데 뭐? 내 몸 속에 들어가서 감기를 일으킨 바이러스들을 잡아 주겠다고? 으아~! ... ...
- Part 3. 혈관 속을 누비는 로봇 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혈관 속을 누비는 마이크로 로봇도 있어. 끊임없이 피가 흐르는 혈관을 돌아다니는 일은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야. 혈관 로봇은 어떻게 움직이고 또 어떤 일을 하는 걸까?막힌 혈관을 뚫어라!아래 사진 속 손가락 위에 아주 작은 막대기가 바로 혈관 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 로봇이에요. 이 로봇 ... ...
- [과학뉴스] 콜레라에 취약한 혈액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것으로 나타났지요.한편 미국 워싱턴의대 제임스 플레켄슈타인 교수팀은 줄기세포로 소장 조직을 만들고, 혈액형 별로 콜레라균에 의한 독소물질 생산량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O형에서 독소물질이 가장 잘 만들어지는 걸로 나타났답니다.플레켄슈타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콜레라를 ...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결합하면서 더 많은 리튬이온을 포획해 배터리 용량이 늘어났다.연구에 참여한 금속재료과학과 파울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뾰족한 붉은색 침상 결정이 빽빽이 솟아나, 바람만 불어도 부러질 듯 아슬아슬하다. 이번 호 광물이야기의 주인공은, ‘생존자(the survivor)’라는 별명을 가진 홍연석(크롬산납, PbCrO4)이다.눈치 빠른 독자들은 이 홍연석에 붙은 별명의 의미를 금세 파악했을 것이다. 마치 재난과 사고에서 살아남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내 경력과, CERN 위원회에 제시한 비전 때문에 소장이 된 것이길 바란다.➔ 지아노티 소장은 자신이 여성이라는 점이 부각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과학계에서는 성별이 아닌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과학자를 꿈꾸는 여학생들에게도 실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성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은 인간이 과학기술을 이용해 공룡을 복제하면서 일어난 재난을 담았다. 특히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티라노사우루스 등 생동감 넘치는 공룡 캐릭터들은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관객들을 중생대 쥐라기로 안내했다.쥬라기 공원 제작진이 1억 년 전 서식한 공룡 ... ...
- [Photo] 자연이라는 화가가 남긴 푸른색 팔레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있는 공작석 반점이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남아있다. 필자도 바티칸의 성 베드로 성당에 소장된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남동석 안료의 색이 보존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물은 딱딱한 무기물이지만, 예술품의 작품성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또 광물의 물리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국으로 건너갔고, 결국 리보솜 구조를 규명해 노벨상을 탔다. 라마크리슈난 부소장은 2011년2011년 7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노벨상 업적을 낼 수 있었던 비결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꼽았다.연구실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로웨 그룹 리더와 연구원들. 그는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포도당을 감지한다.➏~➓ 지방 수용체내장에는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 ...
이전303132333435363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