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염색체"(으)로 총 4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치테스트] 당신은 눈치가 얼마나 빠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6.14
- 여성이 남성보다 눈치가 빠른 유전적 이유도 밝혀졌다. 여성에게서만 특이적으로 3번 염색체에서 발현하는 ‘공감 유전자’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LRRN1이라는 이 유전자는 뇌의 선조체라는 부위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연구진은 LRRN1의 변이나 발현이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 ...
- [표지로 읽는 과학] 보리 유전체 해독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7.04.30
- 보였다. 또 연구진은 봄과 겨울 등 계절별 성장 조건에 따라 유럽의 고품질 보리 96종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리의 유전형 다양성을 밝혔다.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 요인에 의해 보리의 종과 특성이 달라지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스테인 교수는 “유전자를 교정해 새로운 품종의 보리를 설계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2017.04.25
- 20번 염색체)이고 양안 간격(두 눈 사이 거리)과 관련된 자리가 두 곳(1번 염색체와 X염색체)이었다. 코 넓이와 관련된 자리가 한 곳(20번 염색체), 콧방울에서 코끝까지 거리와 관련된 자리가 한 곳(14번 염색체), 위 얼굴 깊이(코뿌리(이마에서 코로 이어지는 선에서 가장 들어간 부분)에서 귀까지 거리 ... ...
- 전통 막걸리,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04.18
- 심지어 같은 종의 효모라도 지역에 따라 배체수가 다른 경우도 있다. 배체수는 생물의 염색체 수로, 흔히들 ‘2n’이나 ‘n’ 등으로 표현한다. 세레비지애와 함께 술 양조에 많이 사용되는 또 다른 효모, 사카로마이콥시스 피불리게라(Saccharomycopsis fibuligera )가 그렇다. 이 효모는 전분, 셀룰로오스, ... ...
- 엄마 얼굴 쏙 빼닮았는데… 관상-성격은 왜 다르지?동아사이언스 l2017.03.24
- 염색체를 한 쌍씩 가지고 있고 그중 절반을 주어 내가 만들어진다. 감수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둘 중 하나만 선택하는데, 이를 고려하면 2의 23제곱(2²³·838만8608)가지 경우의 수 중 골라낸 것이 현재 나의 모습이다. 조상 대대로 내려온 유전자를 재료로 ‘신의 편집’이나 ‘악마의 편집’을 하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치열한 경쟁 끝에 1994년 미국 록펠러대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팀이 마침내 생쥐의 6번 염색체에서 ob 유전자를 찾는데 성공했다. ob 유전자는 아미노산 167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었고 생쥐의 몸에서 이 단백질을 추적한 결과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역할을 하인 것으로 밝혀졌다. ... ...
-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구조다. 이와 달리 Sc2.0이 개발하려는 인공효모는 사람처럼 세포핵을 가진 진핵생물로, 염색체도 여러 개인 더 복잡한 유기체다. 인공생명체 분야 양대 산맥인 두 단체의 연구엔 원핵/진핵 외 다른 차이도 존재한다. 크레이그벤터연구소는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게놈만 갖춘 ... ...
- [카드뉴스] 혹시 내가 왜소증이면 어떡하지?동아사이언스 l2017.03.11
- 경우는 X성염색체의 숫자가 이상하거나 구조에 문제가 있는 터너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염색체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성장호르몬 결핍증이나 터너증후군, 프래더-윌리증후군 등의 질환에서 쓰이는 치료입니다. 호르몬 이상 없이 단순히 키가 작은 경우엔 큰 효과를 기대하기 ... ...
- ‘단세포 인공생명체’ 눈앞에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7.03.10
- 생물을 만들 계획이다. 보크 교수는 “인공 효모는 원하는 형태의 생물 모델을 만들어 염색체의 구조와 기능, 진화를 연구하는 데 활용 가능하다”며 “약물이나 바이오 연료, 신소재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합성 생물을 만드는 데도 활용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영양 풍부하지만 쓴 퀴노아, 달달하게 만드는 법동아사이언스 l2017.02.19
- 분열을 반복하며 증식하는 감수분열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유전 정보를 담은 염색체가 복제된 상태에서 분열되지 못하고 2배체가 된다. 이 과정이 두 번 반복돼 4배체가 된 것이다. 테스터 교수는 “적혈구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쓴맛 대신 단맛이 나는 퀴노아를 재배할 수 있는 길이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