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체염색체
인체
뉴스
"
염색체
"(으)로 총 44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나눈 건 Y
염색체
유전자?
과학동아
l
2016.05.20
영국 레딩대 진화생물학과 마크 페이젤 연구원은 “현생인류에서 네안데르탈인의 X
염색체
유전자만 발견되는 이유를 이번 연구로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4월 7일자에 실렸다 ... ...
식물로 백신, 만들지 말입니다
2016.05.20
2월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고기성 중앙대 의대 교수팀은 담배나 배추의
염색체
에 항원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이용해 대장암 유방암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한 번에 여러 가지 항원단백질을 생산하는 다가(多價) 식물 백신 연구도 한창이다. 식물이 만드는 ... ...
‘가방 끈이 긴’ 사람은 유전자도 다르다?
2016.05.12
이는
염색체
를 구성하는 DNA의 일부 정보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염색체
의 74곳에서 공부를 장기간 하는 사람들이 갖는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냈다. ‘ATCG…’ 식으로 이어지는 DNA의 염기 서열상에서 알파벳(염기)이 한 글자씩 달라지는 곳이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발견한 ... ...
우리 몸속에도 ‘복선(複線) 기찻길’이 다닌다
2016.05.08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원통형 세관 2개로 이뤄져 있다. 미세소관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염색체
가 알맞게 나뉘어 들어가도록 관여하고,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소기관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 또 세포에 붙어 있는 꼬리 모양의 구조물인 편모나 섬모를 구성한다. 가령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서로 연관돼 있음을 추가적으로 밝혀냈다. 이 교수는 “
염색체
의 운동성을 정량 분석해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운증후군 같은 유전질환이나 난임 불임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융합기술 관련 학술지 ‘랩 온어 칩’ 21일자 표지논문으로 ... ...
현생인류 Y
염색체
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가운데 한쪽 성(sex)이 없거나 드물거나 불임일 경우 그 성은 이형
염색체
배우자 성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내 텔로미어 내 손으로 자른다
2016.04.11
말은 “내 텔로미어 내가 자르는 것도 아니고…”였습니다. pixabay 제공 텔로미어는
염색체
끝부분에 달려있는 핵산 서열입니다. 수많은 인체 정보가 담겨있는 염기 서열의 끝에서 ‘여기가 유전자의 끝이다’라고 알려주는 서열이지요. 인체 정보를 담고 있진 않지만 세포의 생존에는 매우 중요한 ... ...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
과학동아
l
2016.04.08
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밝혀냈다. 다운증후군은 21번
염색체
하나가 추가로 복제돼 신체 기형, 정신 지체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사망한 다운증후군 환자의 뇌 조직에서 전장전사체(발현된 총 RNA)를 추출해 유전자 발현 네트워크를 일반인의 뇌 발달 ... ...
국립수산과학원 “참전복 게놈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6.04.05
‘북방전복’의 유전체(게놈) 해독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유전체는 유전자(gene)와
염색체
(chromosome)의 합성어로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말한다. 수과원은 2013년부터 생물정보 기업인 ㈜인실리코젠과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북방전복이 약 18억8000개의 DNA로 이루어졌고 ... ...
방사선 육종기술로 만든 신품종 종자, “잘 키워주세요”
2016.03.22
등이 많았다. 방사선 육종은 식물 종자나 묘목에 방사선을 조사해 유전자나
염색체
돌연변이를 유발한 뒤 후대에서 우수한 형질을 갖는 자손을 선별, 새로운 유전자원을 개발하는 기술이다. 방사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우려할 수 있지만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와 같아 안전성이 입증된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