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약 800도 근처에서 기하학적 특징을 결정짓는
유체
의 흐름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
유체
흐름을 연구하면 화산 활동으로 발생하는 지열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이한 소용돌이...탐사선 '주노'가 발견한 새로운 목성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목성 탐사 위성 ‘주노’의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남극 지역. 극지 중심의 소용돌이 한 개 주위로 지름 최대 7000km의 소용돌이 다섯 개가 모여 있다. 북극에도 ... 교수는 “이 지점에는 고체처럼 단단하게 뭉쳐진 채 회전하는 수소 및 헬륨 혼합
유체
가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 ...
얼음 왜 미끄럽지… 과학계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지치고 나가는 아이스하키는 영하 9도 정도로 관리한다. 양인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열
유체
표준센터장은 “수막 이론은 잘못 알려진 과학 상식 중 하나”라며 “겨울스포츠는 여러 원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마찰열은 경우에 따라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과기한림원, 젊은 과학자들의 ‘Y-KAST’ 신입회원 26명 선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22
등 창의적 연구로 물리학계의 주목을 받은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37)와 수리
유체
역학 분야 난제를 해결하며 여성 수학자의 차세대 대표주자로 떠오른 배명진 포스텍 수학과 교수(38) 등 분야별 최우수 신진 연구자들이 대거 포함됐다. 30대 연구자 6명을 포함한 이들의 평균 나이는 41.1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폭발, 강력한 태양 자기장 뚫을 수 있어야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모델을 제시해 과학전문학술지 네이처 2월 8일자에 발표했다. 맨틀과 외핵 등 일부가
유체
, 나머지는 고체로 구성된 지구와 달리 태양은 표면에서 끊임없이 태양 구성 물질이 흐른다. 워낙에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움직이기 때문에 에너지가 부족한 부분은 온도가 낮아지기도 하고 모이는 곳에서 ... ...
생명과학 연구 새 지평… 세포 속 액체의 점도확인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6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창열 박사는 “기존의 방법으로 측정이 어려운 마이크로 미세
유체
를 확인할 수 있어 더 많은 생명현상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며 “앞으로 의료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저명 학술지인 케미스트리 어 유러피언 ... ...
“습기만 있으면 로봇이 움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6
말이 목구멍까지 올라오는 단순하고 추상적인 그림이다. 그는 “계산이 복잡한
유체
를 연구하다 보니 대상을 최대한 단순화해 계산하는 데 익숙하다”고 말했다. 피카소 그림과, 단순한 그의 하이그로봇이 말과 겹쳤다. 책상 위에 있는, 엄지손가락만 한 유리병에 든 가냘픈 제라늄 씨앗도 그의 ... ...
동맥경화 발생과정, 혈관 구조 재현한 '오간온어칩'으로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생겼을 때 동맥경화에 걸릴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팀이 오간온어칩의
유체
층을 사람의 혈액으로 바꾸고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류 속도가 느려지는 곳에서 단핵 백혈구가 더 많이 발현되는 것을 발견했다. 실제 사람의 몸에서도 혈류 속도가 느려진 곳에서 면역세포가 작용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
역학
2018.01.02
대류다. 즉 물을 끓일 때처럼 온도차가 밀도차를 유발할 수도 있지만 맹물과 소금물처럼
유체
의 조성 차이가 밀도차로 이어질 수도 있다. 어떤 시스템에 온도차와 밀도차가 함께 작용해 대류가 일어날 때 이를 이중 확산 대류라고 부른다. 대표적인 예로는 해양을 들 수 있는데, 수온의 차이와 염분의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인간으로 치면 100m를 2초에 주파하는 놀라운 속도로 헤엄을 친다”며 “편모는
유체
환경에 따라 길이와 형태가 변하는 생물학적 센서이자 액추에이터(구동기)”라고 말했다. 김 교수팀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살모넬라에 힘을 가해 편모만 떼어낸 뒤 열을 가해 녹였다. 이렇게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