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동체
액체
유형
동체
뉴스
"
유체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온 몸이 문어처럼 움직인다고?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2016.08.25
25일자에 발표했다. 옥토봇은 살아있는 생물처럼 몸속에 액체와 기체가 흐르는 ‘미소
유체
논리회로’로 작동한다. 백금(Pt) 촉매로 과산화수소수를 분해시켜 발생하는 산소 기체의 압력(평균 0.01기압)이 동력이다. 소량의 과산화수소수만 보충해 주면 배터리가 따로 필요 없다. 소프트 로봇은 ... ...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한 ‘휴대용 제약공장’ 개발
2016.07.31
있다. 효모를 특정 화학 물질에 노출시킬 경우 약물 단백질 1회분을 합성할 수 있다. 미세
유체
칩은 산성도(pH), 온도, 산소량 등을 세포가 살기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반응기 속 효모에 ‘에스트로겐 베타(β)-에스트라디올’이란 화학물질을 넣자 재조합 인간 성장 ... ...
바닷물에서 리튬 금속 이온만 쏙 빼내
2016.06.20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온을 정밀하게 포집하는 데 한계로 작용했다. 연구진은 나노
유체
역학장치를 이용해 액체에 강한 전기장을 국부적으로 발생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그 결과 수화된 이온에서 물분자가 벗겨지면서 이온 이동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활용해 리튬, ... ...
어른보다 어린이가 더 똑똑한 ○○○?
2016.06.09
어떨까요? Julia Loepelt 제공 뉴질랜드의 웰링턴빅토리아대의 연구진은 카카앵무새의
유체
가 같은 지역의 성체보다 문제해결능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은 뉴질랜드 북섬 웰링턴에 위치한 ‘질란디아 생태보호구(Zealandia Sanctuary)’에 서식하는, 태어난 지 4개월에서 13년 된 ... ...
1만 분의 1초 ‘찰나’의 화학반응 조절
2016.05.06
포항공대 교수. - 포항공대 제공 김동표 포스텍 미세
유체
응용화학연구단 교수팀이 1만 분의 1초 수준으로 화학반응이 ‘찰나’에 일어나도록 돕는 3차원 반응기를 개발해 세계적인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6일자에 발표했다. 여러 종류의 화학 물질을 섞어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 때 반응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재조합 단계에서 염색체 낱개의 운동성을 장시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체
역학을 이용해 세포를 고정시킨 뒤 형광표지법을 활용해 염색체의 운동성을 추적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광분석 기술을 통해 형광표지가 된 염색체의 운동성을 실시간으로 자동 분석할 수 있도록 ... ...
지름 2㎜ 물방울이 0.2㎜ 굵기 거미줄에 초속 1㎝로 부딪힌다면?
2016.04.13
코팅액을 뿌려야 하는지 등을 판단하는 데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유체
역학 관련 학술지인 ‘피직스 오브 플루이드’ 12일자에 실렸다. ... ...
‘칩 위의 실험실’ 더 정밀해졌다
2016.03.28
정완균 포항공대 교수(가운데)와 박사과정 허영진(왼쪽), 석사과정 강준수 씨는 미세
유체
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어기술을 개발했다. - 포항공대 ... ...
유독성 화학물질 배출 걱정 無, 안전한 화학공정 개발
2016.03.03
누출 위험을 완전히 없앤 새로운 화학공정 시스템을 개발했다. 김동표 포항공대 미세
유체
응용화학연구단 교수(사진)팀은 액체에는 젖지 않으면서 기체만 통과시키는 특수 분리기를 도입한 밀봉화학반응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유독성 화학물질은 인체에 닿으면 암을 유발하거나 ... ...
지구의 109배 태양 vs. 3분의 1 수성, 천체 크기는 왜 다를까
2016.03.02
더 이상 커지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없었다. 베잔 교수는 기계, 건축물 등
유체
의 흐름을 설계하는 데 주로 응용되는 ‘형상법칙’을 활용해, 우주 공간에 분포하고 있는 동일한 크기의 천체들 사이에 작용하는 장력 변화를 측정했다. 형상법칙은 베잔 교수가 1996년 처음 제안한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