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뉴스
"
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용시간 100배 늘린 가스센서 개발...정확도는 99.3%
동아사이언스
l
2023.02.14
마이크로미터 사이즈의 초소형 발광다이오드(LED)를 활용했다. 이 박사과정생은 “LED
층
위에 실리콘으로 절연, 그런 다음 센서 전극과 금속산화물을 올려 반도체식 가스센서를 만들었다”며 “히터 대신 LED에서 나오는 빛을 이용해 가열을 하는 개념”이라 말했다. 연구팀은 LED와 금속산화물 ... ...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밀도 3배 향상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이 기술은 그래핀과 같은 2차원 나노소재가 코팅된 웨이퍼를 사용해
층
을 제조한다.
층
을 기판에서 쉽게 떼어낼 수 있으며 겹겹이 쌓아 3차원(3D) 구조의 다기능 고집적 소자로 제조할 수 있는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웨이퍼에서 분리한 적·녹·청색 발광 LED 막을 팬케이크처럼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먼지로 뒤덮여 있다. 레골리스는 달이나 행성, 소행성 등 천체의 표면에 분포하는 퇴적
층
을 지칭한다. 미국 센트럴플로리다대(UCF) 연구팀은 3D 프린팅과 바인더 분사 기술(BJT)을 조합해 레골리스를 단단한 벽돌로 만들었다. 3D 프린팅된 달 표토 벽돌이 우주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고 우주 건축 ... ...
극저온 환경서 끄떡없는 양자컴용 반도체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계속 가해야 해 낮은
층
의 소자가 손상되는 등 공정이 매우 까다로웠다. 연구팀은 적
층
공정 및 소자 제작 시 온도를 높이지 않아도 되는 저온공정을 개발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다. 또 이를 활용해 극저온에 동작하면서 집적도가 높고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소자 및 회로를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공생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28
균사가 나무 뿌리를 휘감습니다. 균사는 뿌리를 휘감으며 서서히 나무 뿌리를 감싸는
층
인 ‘균투’를 형성하죠. 균사는 뿌리 속 세포 사이사이를 파고들며 ‘하티그 망’이라는 그물무늬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때부터 나무와 버섯의 본격적인 공생관계가 시작되죠. 나무는 광합성을 통해 ... ...
[프리미엄 리포트]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01.28
등 고무 제품의 필수 보강제로 사용되고, 페인트나 잉크에 착색제로도 사용됩니다. 다
층
풀러렌 구조인 ‘탄소 나노양파’는 우리 몸 속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직접 볼 수 있는 바이오 이미징 기술에 사용됩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2000년대 초부터 연구를 시작해 2022년 1월 미국 ‘소비자 가전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서는 일반부지와 처분부지 URL을 건설·운영해 심
층
처분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명시했다. 사용후핵연료 처분 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부지도 충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적인 합의만이 남은 상황이다. 주한규 원자력연 원장은 "지역발전을 위한 투자와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1동, 1
층
에 위치한 우리나라 유일의 빙해수조. 과학동아 DB 2022년 11월 18일 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I동 빙해 수조. 우리나라 최초의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의 동생이 될 차세대쇄빙연구선의 모형 빙성능 시험이 진행되는 날이다. 빙성능 실험은 ... ...
세계적 기초과학연구 수행한다...KAIST·포스텍 내 IBS 캠퍼스 건립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671억원이 투입돼 대지면적 1만 7000m2에 건축연면적은 2만23m2 규모로 건설됐다. 지하 1
층
~지상 4
층
건물 1개동에 물리와 수학 분야 3개 연구단이 입주한다. IBS KAIST 캠퍼스는 2020년 10월 착공해 지난해 12월 준공됐다. 559억원이 투입돼 대지면적 1만 7000m2에 건축연면적은 2만5529m2 규모로 건설됐다. 지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두고 표피와 진피를 떼어내는 경우 피부가 흉터 없이 재생할 수 있으므로 피부를 어느
층
까지 떼어내는지가 미용상 아주 중요하다.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면역학이 발전하면서 공여자와 수혜자의 면역학적 유사성이 이식술의 성패에 아주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면역이란 몸 밖에서 몸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