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흡수
뉴스
"
흡수작용
"(으)로 총 35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250km '커리클로'서 고리 발견…'중력 가설'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4.04.18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우리 지구가 있는 태양계 행성 중 아름다운 고리를 갖고 있는 행성이다. 듣기만 해도 알 만한 친숙한 이름들이다. 하지만 이런 느낌만큼이나 많이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정작 우리는 이들의 고리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아직 모른다. 최근 태양계에서 고리를 가진 또 다 ... ...
당뇨병 표적치료제, '한 놈'만 걸려라~
과학동아
l
2014.04.09
FITGE로 표적단백질을 파악하면 수 개의 후보 약물 물질만으로 신약개발이 가능해져 합리적이다. - 안게반테케미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약물의 표적단백질을 추적하는 기술인 'FITGE'를 이용해 효과적인 당뇨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 연구팀은 후보 약물 ... ...
소의 폐가 비타민 C 덩어리?!
과학동아
l
2014.03.30
교보문고 제공 ◆꿀꺽 한 입의 과학(메리 로치 著, 을유문화사 刊) 소 한 마리를 잡으면 버릴 것이 없다고 한다. 그러나 내장을 먹는 것을 혐오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 책은 내장과 간이 고단백 영양식이자 채소 대용품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공개한다. 단적인 예로 소의 폐에 들어있는 비타민 ... ...
벌꿀과 호박벌의 슬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2.23
벌 두 마리가 해바라기 안에서 사이좋게 꿀을 따고 있다. 위쪽은 꿀벌, 아래쪽은 호박벌이다. 서로 다른 종인 두 벌이 같은 질병에 노출돼 있다는 안타까운 이야기가 이번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영국 로얄 홀러웨이대 마티아스 퓌르슈트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유럽 공동 연구진은 ... ...
우울증·뇌전증 잡을 뇌 속 비밀통로 밝혀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07
발작과 경련을 동반하는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불규칙한 흥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장애다. 흥분한 뇌 신경세포가 이완을 하기 위해서는 칼륨이온(K+)을 바깥으로 내보내는데, 발작과 경련은 신경세포 주변에 칼륨이온이 너무 많아 신경세포 내 칼륨이온이 빠져나오지 못해 계속 흥분상 ... ...
한약재의 실제 효능 한 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연구진은 형광물질 '서울플로어'의 구조를 원하는 대로 바꿔 다양한 색깔과 밝기를 내게 하는 데 성공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의 밝기 변화를 이용해 체내 약물이 어디에 작용하는지 알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은 색깔과 밝기를 마음대로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영국의 만화가 윌리엄 힐은 1915년 미국 유머 주간지 ‘퍽(Puck)’에 ‘내 아내와 장모’라는 이름의 재미있는 삽화를 발표했다. 얼굴을 그린 건데 이게 보는 사람에 따라 고개 돌린 젊은 여자의 모습이기도 하고 고개를 약간 숙인 채 침울한 표정을 짓고 있는 노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둘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면역세포 ‘T세포’(회색)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보라 색)을 항체(갈색)가 차단하자 연쇄작용이 일어나 암 세포를 공격한다. - 사이언스 제공 획기적인 암 치료법이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로 꼽혔다. 과학 분야 권위지인 ‘사이언스’는 20일 올해의 10대 과학뉴스를 발표하며 ‘암 면역치료법 ... ...
발암물질로 인한 DNA 손상, ‘이것’만 있으면 오케이!
동아사이언스
l
2013.12.19
발암물질에 의해 DNA의 이중나선이 끊어지면, ATM 단백질(노란색)과 TCTP 단백질(파란색)이 결합해 손상 부위에 인산기(P)를 부착한다. 그 후 각종 DNA 수리 단백질들이 인산기를 신호로 인식해 모여든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명체가 방사능이나 자외선 같은 ‘발암물질’로부터 스스로 DNA를 방 ... ...
대장균으로 휘발유 만든 과학자, 이번에는 ‘페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국내 연구진이 대장균을 이용해 페놀을 인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페놀은 원유를 처리해 얻어내는 석유화학물질로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카보네이트, 강력 접착제인 에폭시, 제초제 제조에 쓰인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은 30일 대장균의 대사작용(생물체가 몸 밖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