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스페셜
"
종이
"(으)로 총 402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제공 브라우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인류
종이
약 5만년 전 교배가 됐을 것으로 추정한다”며 “시베리아에서 발견한 한무리의 데니소바인 화석이 유일한 표본인 상황에서 아직 어디에서 교배가 이뤄졌는지는 추측조차 어렵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포멜로와 교배해 얻은 오로블랑코(Oroblanco)와 멜로골드(Melogold)라는 그레이프프루트 품
종이
있다. 아마도 이 그레이프프루트가 그런 종류가 아닐까. 마트에 가서 확인해보니 ‘멜로골드그레이프르루트’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631년 그려진 그림 속에서 처음 등장했다. 즉 일본에 나팔꽃이 소개된지 대략 850년 뒤에 변
종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게놈 분석을 통해 DFR-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효소가 작동을 못하면서 흰 나팔꽃이 나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850년 만에 일어난 변이를 1년 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특정한 화학구조인 비닐기(vinyl group)를 뜻하는 화학용어인데 어쩌다가 우리나라에서 ‘
종이
처럼 얇은 플라스틱(plastic film)’을 뜻하는 말이 됐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베르토치니 박사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가 폴리에틸렌필름을 먹는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즉 폴리에틸렌봉지에 애벌레 1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말미에서 저자들은 “장내미생물과 유전자를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 ...
[표지로 읽는 과학_네이처] 반도체 기판 무한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제공 인쇄를 마친
종이
가 프린터에서 빠져나오듯, 전자회로가 딱딱한 기판에서 연이어 떨어져 나온다. 이번 주 학술지 ‘네이처’에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을 무한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제조기법을 개발한 한국인 연구자의 연구결과가 표지로 등장했다. 그림 속 회색물질의 정체는 반도체의 기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산소발생 광합성을 하는 유일한 박테리아가 됐다고 추정했다. 그 뒤 이 박테리아의 한
종이
진핵생물에 잡아먹혀 소화되는 대신 세포 내에 자리를 잡으며 엽록체가 됐고 그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
종이
접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인식하고 달라붙어 그림에서처럼 DNA 이중가닥을 특별한 모양으로 접는다. DNA가
종이
라면 단백질은 접착제다. 각 세포에 들어있는 구성성분에 따라 접착제의 성분과 작동형태도 달라진다. DNA는 각 세포에 최적화된 형태로 모양이 변형되고, 이를 통해 세포에 필요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만들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자연상태에서는 서로 소통을 하지 않는 박테리아 두
종이
인공세포를 매개로 소통할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자들은 비브리오 피셰리가 내놓은 3OC6 HSL에 반응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인식하는 3OC12 HSL을 만드는 게놈을 지닌 인공세포가 제대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이루어진 개체군을 뜻한다. 즉 어떤
종이
메타개체군을 이루는 지역 내부에는
종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섬처럼 흩어져 있는데 이게 국지개체군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고 서식지를 넓히면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점점 파편화되면서 메타개체군이 늘어나고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