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스페셜
"
종이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8.02.27
포멜로와 교배해 얻은 오로블랑코(Oroblanco)와 멜로골드(Melogold)라는 그레이프프루트 품
종이
있다. 아마도 이 그레이프프루트가 그런 종류가 아닐까. 마트에 가서 확인해보니 ‘멜로골드그레이프르루트’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631년 그려진 그림 속에서 처음 등장했다. 즉 일본에 나팔꽃이 소개된지 대략 850년 뒤에 변
종이
등장한 것이다. 이후 게놈 분석을 통해 DFR-B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효소가 작동을 못하면서 흰 나팔꽃이 나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자연 상태에서 850년 만에 일어난 변이를 1년 안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특정한 화학구조인 비닐기(vinyl group)를 뜻하는 화학용어인데 어쩌다가 우리나라에서 ‘
종이
처럼 얇은 플라스틱(plastic film)’을 뜻하는 말이 됐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베르토치니 박사는 꿀벌부채명나방 애벌레가 폴리에틸렌필름을 먹는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즉 폴리에틸렌봉지에 애벌레 1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말미에서 저자들은 “장내미생물과 유전자를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 ...
[표지로 읽는 과학_네이처] 반도체 기판 무한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제공 인쇄를 마친
종이
가 프린터에서 빠져나오듯, 전자회로가 딱딱한 기판에서 연이어 떨어져 나온다. 이번 주 학술지 ‘네이처’에는 반도체 웨이퍼 기판을 무한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제조기법을 개발한 한국인 연구자의 연구결과가 표지로 등장했다. 그림 속 회색물질의 정체는 반도체의 기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산소발생 광합성을 하는 유일한 박테리아가 됐다고 추정했다. 그 뒤 이 박테리아의 한
종이
진핵생물에 잡아먹혀 소화되는 대신 세포 내에 자리를 잡으며 엽록체가 됐고 그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
종이
접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인식하고 달라붙어 그림에서처럼 DNA 이중가닥을 특별한 모양으로 접는다. DNA가
종이
라면 단백질은 접착제다. 각 세포에 들어있는 구성성분에 따라 접착제의 성분과 작동형태도 달라진다. DNA는 각 세포에 최적화된 형태로 모양이 변형되고, 이를 통해 세포에 필요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만들게 구성된 것이다. 이 경우 자연상태에서는 서로 소통을 하지 않는 박테리아 두
종이
인공세포를 매개로 소통할 수도 있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 연구자들은 비브리오 피셰리가 내놓은 3OC6 HSL에 반응해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인식하는 3OC12 HSL을 만드는 게놈을 지닌 인공세포가 제대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이루어진 개체군을 뜻한다. 즉 어떤
종이
메타개체군을 이루는 지역 내부에는
종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섬처럼 흩어져 있는데 이게 국지개체군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고 서식지를 넓히면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점점 파편화되면서 메타개체군이 늘어나고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뿐 목격되지 않고 있다. 현재 한반도 북쪽에 남아 있는 개체가 100마리도 안 되는 멸종위급
종이
다. - 위키피디아 제공 ● 육식 올인해 얻은 것과 잃은 것 논문의 서론(Background)을 보면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여럿 알게 됐다. 먼저 포유류 역사에서 육식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방향으로 진화가 여러 차례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