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지난 여름을 뜨겁게 달군 것 중 하나는 아이스버킷 챌린지다.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돕기 위한 기부 이벤트로 벌어진 이 행사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등의 유명인사가 참여하면서 전세계에 유행처럼 번졌다. 그런데 그 중심에는 페이스북과 트위터 같은 SNS가 자리잡고 있 ... ...
- “집은 살기 좋은 작품”과학동아 l2014년 09호
- ▶ 건축가에게 필요한 것 공간지각력, 상상력 그리고 언어Q 건축학을 공부하고 싶은 학생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A 우선 자기가 상상하는 공간을 그림이나 모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지각력과 상상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실제 사람들이 그 안에서 어떻게 살지 고민하는 자 ... ...
- PART1.전염의 시작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볼라가 서아프리카를 강타하고 있다. 올해 봄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 리아, 시에라리온으로 에볼라가 전염된 뒤, 최근 교통의 중심지 나이지 리아에서까지 환자가 발생했다. 8월 21일 현재까지 에볼라에 감염된 사람은 2473명, 사망자는 1350명이다. 이번 에볼라의 치사율은 54.6%로, 이전의 다 른 에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0에볼라는 과거 수천만 명을 죽였다는 스페인독감처럼 대유행 전염병(팬데믹)으로 발전할까? 그러기 위해서는 공기로 전염돼야 한다. 영화 아웃브레이크(1995)는 이런 최악의 공포를 현실로 보여준다. 출혈열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공기전염으로 변하는 순간, 사람들은 걸어 다니는 생화학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년 09호
- ▲ 독도 혹돔굴에서 명정구 소장이 잠수해 사진을 찍는 모습. 명 소장이 1997년 혹돔굴에 처음 갔을 때 네 마리의 혹돔이 발견됐는데 10여년 뒤인 2008년 다시 이곳에 왔을 때 한 마리가 여전히 살고 있었다.그대, 독도 바닷속을 본 적이 있는가.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독도 바다의 수중 생태지도 5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1 식물공장에서 만든 에볼라 치료제이번 에볼라 사태는 바이오 분야에서 ‘식물공장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소재의 작은 바이오 제약사가 만든 에볼라 치료제, 지맵(ZMapp) 때문이다. 지맵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단일클론항체(특정 항원에만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얼마 전, 한 독자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지난 7월호에 나갔던 ‘귀신 여러분~ 찍습니다~ 김치!’에 대해서 의견을 써 주셨더군요. 귀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비물질적인 존재라 검출기를 만들 수도 없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그래서 그 반론에 대해 다시 반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구 날짜로 2031년 9월 15일. 화성에 도착한 지 8개월이 지났다. 나는 지금 위대하고 기나긴 일의 첫 발을 내딛고 있다. 나에겐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발걸음이 될 어떤 일을. 우리 세대에는 결코 이룰 수 없고, 수백 수천 년이 걸려도 이루지 못할 도전. 바로 ‘테라포밍(terra-forming)’ ... ...
- 에볼라 쇼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세계보건기구(WHO)가 8월 8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 ...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역사● 에볼라는 1976년 중앙 아프리카 지역에서 처음 발생했다. ‘에볼라’의 유래는 그 해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의 에볼라강 주변에서 에볼라 바이러스와 유사한 질병 증상이 보고됐기 때문이다.● 에볼라는 현재까지 수단, 자이르, 레스턴, 코트디부아르, 번디분교 다섯 종류가 있다. 이중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