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자 부자, 퍼즐로 새로운 서체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컨베이어 벨트는 설치된 모든 바퀴의 곡면을 감아 돌면서 움직인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의 원리를 수학 퍼즐로 만들어, ‘컨베이어 벨트 체’를 만든 수학자 부자(父子)가 있다.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의 컴퓨터공학자인 에릭 드메인은 그의 아버지와 함께 계산 기하학을 이용해 컨베이어 벨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안녕, 나는 미래에서 온 ‘아토’라고 해요. 지금 여러분이 즐겨 쓰는 스마트폰 메신저의 미래 버전이라 볼 수 있죠. 나는 훨씬 더 발달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지금처럼 과거로 돌아가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내 모습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나를 만나려면 꼭 알아야 ... ...
- [뉴스 포커스] 세계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한국에 모인 이유는?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서울세계수학자대회와 함께 또 다른 수학 축제가 우리나라에서 열렸다. 바로 융합수학 학회인 ‘브릿지스 서울 2014’다. 융합수학이란 수학적인 주제를 미술과 건축, 음악, 시와 영화 등의 소재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분야로, 브릿지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융합수학 학회다. 8월 ... ...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전세계 수학자들의 축제,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가 지난 8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개막식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필즈상 수상자들에게 필즈메달을 수여했다. 과연 에서 예측한 필즈상 후보자들 중 몇 명이나 수상의 영광을 안았을까? 그리고 수상자들에게는 어떤 개성 넘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에헴~, 나는 그 이름도 유명한 이순신! 한국에서 나를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오. 옛날 아주 먼 옛날, 왜군(현재의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했을 때 내가 군대를 이끌어 나라를 지켰기 때문이라오. 또 나대용 장군과 함께 만든 거북선은 세계 최초의 철갑선…, 철갑선? 내가 거북선에 철갑을 둘렀 ...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이전까지 필즈상을 수상한 수학자들은 모두 52명이다. 모두 세계가 주목한 젊은 천재들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필즈상을 수상하기까지 거쳐온 과정은 각자 다양하다. 필즈상 수상자들에게는 어떤 뒷이야기가 있을까? 개성이 넘치다 못해 특이하기까지 한 별별 필즈상 수 ... ...
- [생활] 미래 필즈상을 꿈꾼다! 도전! 수학 골든벨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자타공인 수학의 달인 100명이 KBS 1TV ‘도전! 골든벨’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국 각지에서 서류 전형과 인터뷰 면접을 통과한 패기 넘치는 고등학생들이 50개의 수학 문제에 도전한 것이다. 과연 수학 골든벨을 울린 최후의 1인이 탄생했을까?지난 7월 6일 카이스트 스포츠 콤플렉스에서는 ‘도전! ... ...
- PART1 - 영화 속 거미군단이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군집로봇’은 참 눈에 띄지 않는다.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아나운서 로봇은 사람과 비슷한 외모로 언 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그 전에는 일본의 ‘아시모’ 나 한국의 ‘휴보’가 로봇의 전부라고 여겨지던 시대도 있 었다. 화려한 로봇의 역사에서, 군집로봇은 단 한 번도 무대 위로 올라오 ... ...
- ❻ 의학&공학 - 내 몸을 꿰뚫어보는 수학, 몸 구석구석 흐르는 수학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수학이 없었다면 오늘날 병원에서 많이 쓰는 X선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도 없었을 것입니다. 여기에는 프랑스 수학자 장 바티스트 조제프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 환’이라는 수학공식이 들어가 있습니다.DNA 배열처럼 가시광선 파장보다 짧고 미세한 구조는 눈은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 사진 속 표본은 모두 자연사박물관에서 제공함.All specimens included in images are derived from Natural History Facilities2011년, 뉴욕 사진전에 무명의 남성이 기묘한 작품을 들고 나타났다.‘생명과학’이라는 큰 주제뿐, 제목은 모두 ‘무제’다. 사진 속에는 핏빛 심장, 뇌, 수술 도구 등이 1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