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연구라는 건 늘 응용분야와 시장이 뚜렷한 경우에만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공학, 특히 로봇공학은 특성상 상용화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데도, 그간 이와 관련된 논의가 적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돼 더 많은 기술이 세상으로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50년쯤 인간의 최고 수명은 150세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요. 왜냐하면 앞으로 20~30년 안에 인간 수명을 30% 정도 연장시키는 약이 개발될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그 결과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 사이에 태어나 현재 살아 있는 사람 중 한 명이 ‘150세’ 기록을 세울 것이라고 보고 있답니다 ... ...
- 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좋아 절로 노랫소리가 나오네요. 그런데 닭에 대해 아직도 ‘멍청하다, 겁쟁이다’ 등 안 좋은 이야기들을 많이 하더라고요! 12년 만에 찾아온 닭의 해를 맞아 어과동에서 우리의 억울함을 풀어 준다기에 얼른 출연했어요. 우리 닭이 얼마나 가치 있는 동물인지 지금부터 잘 들어 보세요!▼관련기사를 ... ...
- Part 1. 닭은 억울하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주기를 감지해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닭은 머리가 정말 나쁠까?흔히 머리가 안 좋은 사람을 닭에 비유해요. 닭의 머리는 정말 나쁠까요? 일반적으로 조류는 뇌의 용량이 작고, 뼈가 비어 있어요. 또 기낭이라는 공기주머니를 지닌 것이 특징이지요. 모두 하늘을 날기 위해 무게를 줄이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말 옆에서는 최대한 조심히 움직여야 해요.”기자단 친구들은 헬멧과 보호조끼를 입고, 안내해 주시는 분의 도움을 받아 말에 올라탔어요. 말의 움직임에 따라 엉덩이가 통통 튀어오르기 때문에 허리를 곧게 세우고 중심을 잡아야 했어요. 처음에는 균형을 잃고 말에서 떨어질까 걱정했지만, 금세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회 여기저기에서 보입니다. 시간을 대하는 태도를 산업사회 식에 머무르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도 들립니다. 여기 저기에서 묵묵히, 혁신의 균열을 조금씩 앞당기고 있는 사람들 중에 젊고 합리적인 과학자와 공학자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물론, 이런 제목에 고개를 끄덕이며 저희는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여름 동안 준비한 발에 김 포자를 붙여 얼렸다가 각자 지정된 바다에 풀어 10~15일동안 키워서 떠내는 것을 겨우내 반복한다. 마량항의 경우, 가로와 세로가 약 4km 되는 바다에 56명의 어업인이 김을 기르고 있다.“수익이 10% 정도 더 나오는 소위 (김이) 잘 되는 자리가 있다. 그래서 공평하게 바다를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제도도 있습니다), 해외 연구자들이 줄을 잇습니다. 조금 과장하면 유명한 석학들도 안식년을 이곳에서 보내기 위해 경쟁할 정도입니다. 제 생각에는 일본의 옛 전통이 살아 숨쉬는 교토의 매력도 한몫 하는 것 같아요. CiRA는 교토 시내인 산조, 시조 지역과 도보로 15~20분 거리입니다. 또 걸어서 5분 ...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뻗은 뒤, 다시 순서를 바꿔 아래·위로 뻗으면 몸의 회전율이 커졌습니다. 1.8초 안에 공중제비를 한 바퀴 반 돌 수 있고, 몸 비틀기 동작은 5번 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이 동작이 최소 4.7점의 난이도 점수를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가장 어려운 동작의 난이도 점수가 4.8점이므로 만점에 ... ...
- [가상 인터뷰] 아! 이! 우! 에! 오! 인류의 발성 조상은 개코원숭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하더군요.모음을 발음하는 건 인류의 특별한 능력인줄 알았는데 반성할게요. 미안해요!괜찮아요~. 이번 연구를 통해서 인류의 조음 능력(소리를 만드는 능력)의 기원도 다시 생각하게 됐어요. 우리 바분과 인류의 공통 조상이 살았던 2500만 년 전부터 그 능력이 진화한 것이 아닐까요? 그 옛날에 ... ...
이전336337338339340341342343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