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과학동아 l198812
- 되도록 안전구역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시설을 설계하는 것이 이상적이다.이상에서 살펴본 안전시설·설비 이외에 실험실 요원의 건강관리라든가 안전교육, 실험실의 안전점검이 필요하며 총체적으로는 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한발짝 가까이과학동아 l198812
- 만들고 있는 미국의 탠디콤팩 휴렛팩커드 제니스와 이탈리아의 올리베트 그리고 일본의 NEC를 포함한 이른바 퍼스컬 컴퓨터의 '9인방'은 똘똘뭉쳐 IBM의 최신 기종설계와는 다른 독자적인 표준을 발표하고 종래와 같은 IBM추종자의 입장에서 탈피한다고 선언한 것이다.한편 세계 컴퓨터계를 공포의 ... ...
- 눈·코·귀의 기능을 기막히게 향상시킨 첨단의 센서들과학동아 l198811
- 임시로 판단장치라 하자.다시 인간에 대하여 생각해보자. 잔돈을 계산하는 일은 눈으로 본 손님이 낸돈에서 요금을 빼는 일인데, 이는 인간의 두뇌가 한다.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생각해 보면 좀더 쉬울 것이다. 즉 센서는 인간의 감각기관을 흉내내고 판단장치는 인간의 두뇌를 흉내낸다. 인간의 ... ...
- 스칸디나비아 반도 최북단 랲 랜드과학동아 l198811
- 삶의 엄숙함이 있었다. 그 자연과 그들의 삶을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었다.하늘에서 본 북극권의 랲랜드그중에서도 북극권의매력은 다할줄 모른다. 지금 필자는 이곳 랲랜드(Lapland)에서 6년째 자연을 카메라에 담고 있다. 랲랜드란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북의 북극권에 있는 지방. 노르웨이 스웨덴 ... ...
- 감마선의 수수께끼, 물리학계 긴장시켜과학동아 l198811
- 백조좌의 별(Cygnus X-3)과 허큘리스좌의 별(Hercules X-1)을 86년 7월~87년 7월까지 주의깊게 본 부산물이었던 것. 이 두별은 그동안 30분씩 2번 감마선의 폭발이 있었다. 폭발후 10번의 우주선샤워가 있었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예측되었던 2.6번보다 훨씬 빈번한 것이었다 ... ...
- 베일을 벗은 소련의 군항도시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과학동아 l198811
- 표고는 3백50m정도.시민과 여행자들은 이산의 전망대에 올라가 조망을 즐긴다. 여기서 본 정면의 항구가 유명한 '표트르'대제만이다. 이 만은 '자라이트로그'(金角灣·Golden horn)라고도 한다. 터키의 이스탄불과 지형이 비슷하다하여 같은 이름을 붙였다는 해석이 있다.자라이트로그는 가로 5km 세로 2km ... ...
- 첨단건축, 어디까지 왔나 「수직도시」초고층빌딩의 기술세계과학동아 l198811
- 것으로 기대되며 21세기에는 건물높이 1마일 정도의 건물실험도 가능하리라 전망해본다.첨단의 건축물에는 최근들어 뉴미디어로 표현되고 있는 지능형 빌딩(Intelligent Building)이 출현되고 있다. 이는 통신, 컴퓨터 및 센서 등의 최첨단기술을 조합하여 건물전체의 환경유지에서 부터 전화 통신 ...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과학동아 l198811
- 약진을 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일본 다음 가는 세계 제2위로 비약을 하여 이제는 일본을 추월하는 단계까지 와 있고 이에 따라 우리 조선공학도 이제는 세계 어느 곳에 내놓아도 부끄러움이 없는 수준에 와있다.나는 10여년전부터 선박사(船舶史)와 거북선(亀船) 연구에도 종사하여 현재 ... ...
- 책제본공에서 대화학자가 도기까지 마이클 패러디의 위대한 생애과학동아 l198811
- 것을 잊지 않았다.패러디는 데이비로부터 "앞으로 내가 쓰는 모든 책의 인쇄와 제본을 자네에게 맡기겠다"는 약속을 듣고 그와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의 실망은 어느 때보다도 깊었다. 이제는 정말로 과학자가 될 수 있는 유일한 길마저도 막혀버린 것으로 생각되었다.그러나 아무도 예측하지 ... ...
-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워드프로세싱은 PC사용의 첫걸음과학동아 l198811
- 때 '백견이불여일행'(Doing is Believing) 과 비슷한 말이 탄생하고, 널리 퍼지고 있는 것을 본다. 이것은 컴퓨터의 문화가 성숙해 가고 있다는 현 시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