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서양수학사에 한 획을 그은 수학의 명가 베르누이 가문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법률과 문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을 발휘하기도 했다.본래 베르누이 가문은
현재
는 벨기에 땅이지만 당시에는 네덜란드에 속했던 안트베르펜에 살고 있었다. 그들은 칼뱅주의를 믿었다. 칼뱅주의란 16세기 프랑스에서 일어난 종교개혁으로 생긴 새로운 기독교 사상이다. 그런데 16세기 말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감독 미야자키 하야오와 다카하타 이사오가 1985년 설립해,
현재
까지 17여편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했다.스튜디오 지브리는 일본에서 작품 대부분이 개봉 연도 최고 흥행작이 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특히 2001년에 개봉한 은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지금의 사파이어 기판이 아닌 대규모 질화갈륨 기판 위에서 LED를 만들어야 한다.
현재
질화갈륨 결정을 넓게 만드는 일과 무극성 LED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자기가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부분을 교수나 선배가 받아들일 수 있게 설득해야 한다. 만약 교수와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을 이용해 센서의 내구성을 높이고 뇌신경 전달물질의 측정 성능을 높인다.이 기술은
현재
미국 메이요병원 신경외과 캔달 리 교수팀과 장동표 한양대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한국 연구자가 브레인 계획 6대 최우선 연구 과제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대측정법’을 이용해 지층의 연대와 자기장 방향을 정밀하게 조사했다. 그 결과,
현재
의 자북극(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78만6000년 전 남쪽에 있다가 78만6100년 전 지금의 위치로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지구의 자기장 세기가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토종닭으로 부를 수 없다. 강보석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금과 연구관은 “
현재
토착종과 재래종을 포함해 토종닭을 정식으로 인증할 법령과 절차가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경태 연구관은 “재래닭 중 흑계를 중심으로 유전자를 정밀하게 비교하고 있다”며 “유전자 지도를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의견이었다. 반대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동결낙인을 찍는 쪽으로 의견이 기울었다.
현재
로선 다른 대안이 없지만 만약 낙인을 찍지 않고도 바다에서 제돌이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더라면 어땠을까.지난 여름밤 파주의 한 조용한 시골마을은 개구리를 잡으러 온 대학생들로 북적였다.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알아야 개과천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지 않습니까. 착하게 살았던 사람도 마찬가지예요.
현재
의 내 의식은 꺼져 버리고 나를 기억도 못 하는 다른 사람이 복을 받는 것 아닙니까. 기억도 공유하지 못하는데, 둘을 어떻64게 같은 존재라고 볼 수 있나요.그럼 전생을 기억한다는 사람들은 뭘까요? 간혹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시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광수용체는 망막색소상피세포보다 배양하기가 더 까다로워
현재
동물실험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차병원에서도 똑같은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실은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희망을 불어넣는다.이 처장의 목표는
현재
4.4%인 KAIST 외국인 학생 비율을 10%까지 늘리는 것이다. 외국 학생이 늘어나면 대학경쟁력도 올라간다. KAIST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타임즈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