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현재"(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그런 측면에서, 로봇기술이 재앙을 몰고 오기 훨씬 이전에 로봇윤리를 정립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인류는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날 때를 맞았다. 마침 올해는 영화 ‘터미네이터’가 나온 지 딱 30년이 되는 해다 ...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겨울, 내년 겨울,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앞으로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는 어떻게 전개될까. 현재 북극의 해빙은 빠르게 줄고 있다. 자연스럽게 지금보다 더 많은 열이 해양에서 대기로 방출될 수 있고, 이는 극 소용돌이를 좀 더 지속적으로 약화시킬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한파가 중위도에서 좀더 자주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이다.캠페인 소식을 들은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철강관리공단이 적극 나서면서 현재 조선내화, 삼화피앤씨, ㈜융진 등 지역 기업들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장학금을 출연한 기업체와 개인은 우수인재 양성에 기여하면서 신선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접하고 기업 운용에 응용하는 효과를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능했겠는가. ▲ 2009년 우주에 다녀온 미국 해병대 랜돌프 브레스닉 대령의 모습. 현재의 우주복은 이렇게 두껍고 복잡한 모습이다. 입고 운동은 도저히 불가능하다. 거울에 비춰 보기 위해 숫자를 거꾸로 적은 가슴의 계기판이 비애를 말해준다.우주복 기술이 가능하게 한 화성 올림픽처음 화성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향기가 뛰어난 유럽 야생장미와 중국 야생장미를 교배해 다양한 장미를 만들었어요. 현재 7000여 종의 품종이 있으며, 해마다 200종 이상의 품종이 새롭게 만들어진답니다. 18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구분하기도 해요 ... ...
- [포토뉴스] 수학으로 해양 오염 막는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 있다. 또한 해양 중에 유해 물질의 농도가 가장 높은 지역을 찾아낼 수도 있다. 실제로 현재의 해양 오염 자료를 토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 본 결과, 유해 물질들은 해류를 따라 적도 부근을 벗어나 아열대 환류 부근에 모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이 모델은 ‘에르고딕 이론’을 기초로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학생들 스스로 수학 활동을 한 것에 의미가 있었어요.”이렇게 첫발을 뗀 수학동아리는 현재 승승장구하고 있다. 학생들이 연구한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주최한 수학체험전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가르쳐 주기도 했다.“사실 많은 학생들이 수학의 ‘수’자만 들어도 치를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거리가 약 121AU였다. 나는 그 이후로도 2년째 초속 17km의 속도로 태양에서 멀어지고 있다. 현재는 125AU를 넘은 떨어진 지점을 통과하고 있다.NASA의 우주과학자들이 내가 태양권을 벗어나 성간공간에 들어갔다고 결론지은 데에는 이유가 있다. 내가 보낸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과 2012년 사이에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불러왔지만 백성 대부분은 여전히 배를 곯았다. 당시 조선의 1000m2 당 쌀 생산량은 현재의 10%에 불과했다. 봄철이면 항상 보릿고개에 시달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배불리 쌀밥을 먹게 된 것은 250년 뒤인 1976년이다. 1976년 통일벼로 쌀 자급자족 달성전통적으로 한반도에서는 자포니카 종을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표현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와, 독자적인 질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예요.사실 현재로서는 화병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해 통일된 의학적 설명을 제기하기는 어려워요. 최근 새로 개정된 정신질환 진단기준(DSM-V)에서는 화병을 독자적인 질병으로 인정하지 않아요. 공황발작이나 공황장애,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