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1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 남극세종과학기지 제24차 월동연구대로 참여했고,
현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에서 극지생물분자공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꿈꾸며 재사용 가능한 발사체를 개발하는 벤처기업인 블루오리진을 창립했다. 이 회사는
현재
NASA의 유인 우주탐사 프로젝트(CCDev)에 또다른 우주벤처인 스페이스X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온라인 전자결재 회사인 페이팔의 공동창업자 엘론 머스크도 페이팔을 매각해 큰 돈을 번 뒤 우주에 대한 ... ...
혜성,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주위를 다섯 차례 돌며 64억km를 날아간 끝에 마침내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현재
로제타는 일명 ‘추리’라고 불리는 이 혜성의 100km 상공에서 추리의 속도와 똑같은 시속 5만5000km로 함께 궤도를 날고 있다. 동시에 혜성 주변을 돌면서 착륙할 곳을 탐색하는 중이다. 오는 11월에는 100kg짜리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초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치중해왔다. 이 때문에 또 다른 암기과목이 생기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것 같다. 하지만
현재
추진 중인 소프트웨어 교육은 완전히 다르다. 본질은 학생들의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교육 내용의 90%는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 알고리듬이나 ‘computational thinking’이라고 불리는 내용에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모래로 쌓인 충적층과 단단한 암석 중 한 곳만 팠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다”고 밝혔다.
현재
TBM으로 터널을 파고 있는 위치는 딱 충적층과 암석의 중간 지역이다. 위로는 자갈을 파고 아래로는 암석을 파야 한다. 조금 과장하면 모래를 파내는 삽과 바위를 깨는 드릴을 동시에 써야 하는 셈이다. 이 ... ...
무궁무진한 생각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궁리 출판사는 1999년 설립돼
현재
까지 320여 종의 책을 출판했다. 초기에는 과학 서적을 주로 출판하다 점차 예술, 인문 분야 같은 다른 분야까지 영역을 확장했다. 그 와중에도 과학책은 처음부터 지금까지 궁리를 튼튼히 지탱하는 기둥이었다.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백신이나 치료제를 만들려면 바이러스를 산 채로 다룰 수 있는 연구실이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BL3(Biosafety Level 3)급 실험실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죽일(불활성화) 수만 있다. 이것도 원래는 BL4에서 해야 하는데, 여건상 BL3 안에 격리시설을 갖춰 안전을 강화한 다음 실시한다.
현재
전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변하는 하늘 파랗던 하늘이 갑자기 검은색으로 변했다. 우주선 속도가 마하 3.5에 이르러
현재
중력가속도가 3.5G라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머리 쪽 피가 다리 쪽으로 쏠리면서 가장 민감한 눈이약간 흐려질 수도 있다던 강사의 말이 생각났다. 하지만 곧 로켓엔진의 추력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뜨거운 목성은 행성-행성 산란에 의해 이리저리 이동하다가 중심별과의 조석작용을 통해
현재
의 모습을 갖게 된 것이다.뜨거운 목성의 운명은뜨거운 목성들은 공전궤도가 거의 원에 가깝다. 처음에는 타원 궤도였지만 중심별과의 조석상호작용이 일어나 운동에너지를 잃으며 원 궤도로 변하고,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처음 발견된 해양생물도 7종이나 됐다. 명 소장은 “독도 연안에서 발견된 해양생물은
현재
까지 100여 종을 넘는다”며 “‘독도가 아열대바다가 됐다’는 말도 있지만 아직 이르고 길게 관찰해야 결론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생태지도는 이걸로 끝이 아니다. 해양과기원은 2017년까지 11곳의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