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논쟁은 납의 동위체 비(比) 측정결과에 의해 마감됐다.고고학은 땅속에 있는 유물과
바다
속에 있는 유물들을 다룬다. 전에는 거의가 우선 파내고 건져올리는 데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고는 고증하고 복원하고 체계를 세워서 역사의 고리를 이어 나갔다. 따라서 그것은 주로 인문과학의 ... ...
늘씬한 3W의 나라 칠레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늘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치 안데스산맥이 남쪽을 향해 달리다가 발을 헛디뎌
바다
에 가라 앉은 듯 그 모습이 잠시 사라진다. 그러다가 남극에 이르면 얼음 덩어리가 불쑥 솟아오론 듯한 절경을 이루는 것이다.케나스에 맞춰 쿠에카를관공서나 회사 상가 등은 보통 아침 9시30분경부터 ... ...
열과 전기의 비밀통로 무전기로 둔갑한 「빨치산반합」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이용하는 발전도 가능하다.(그림 4)는 해양온도차를 이용하는 열전발전의 원리.
바다
속 50m 이내의 표층부의 온도는 3백K(27℃) 정도고, 5백m 이하의 심층부의 온도는 약 2백80K(7℃)이므로 이 두 곳 사이에는 온도차가 있다. 따라서 이를 펌프로 끌어올려 열전모듈의 고온부와 저온부로 이용하면 전력을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수 있다. 제1세대 우주선은 지구에서 수직으로 발사돼 우주비행을 한 뒤 낙하산을 이용,
바다
(미국)나 육지(소련)로 돌아오는 방법을 이용하는 우주선이다. 머큐리 제미니 아폴로우주선과, 소련의 보스토크 보스호드 소유즈 우주선 등이 이와 같은 종류에 속한다. 이것은 미국과 소련이 우주개발 ... ...
기상이변,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비해 2~5℃ 정도) 그 고온 현상이 1년 이상이나 지속된다. 이때 해수의 고온현상은 페루 앞
바다
뿐만 아니라 상당히 먼 곳까지 확산된다.엘 니뇨현상이 생기는 까닭은 무엇일까? 기상학자들은 대기와 해수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가령 열대지방의 편동 무역풍이 약해지면 서태평양 ... ...
하이테크 시대의 복병 EMI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밧줄이 매질이며, 발성체로 부터 귀에 전해지는 음파의 경우는 대개 공기가 매질이며,
바다
의 파도는 물의 표면으로 진행한다.그러나 어떤 파동은 물질적인 매질이 없이 진공에서도 진행할 수 있는데 전자파가 이에 해당하며, 바로 이 점 때문에 사람들은 전자파를 파동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즉 ... ...
태평양
바다
속에서 광물을 캔다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계속해야 한다. 7일동안 우리가 보기에는 심한 파도가 쳐도 선원들은 보기드문 잔잔한
바다
라고 하루에도 몇번씩 되풀이 하곤 했다. 그리고 우리에겐 행운을 가져온 연구원들이라고 말했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두고봐야 알 일이지만 그들에게는 아주 가벼운 해황인 것 같았다. 조사지점에 도착하기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대표하는 명물들이다. 수많은 해식동굴, 기암괴석과 아울러 하늘을 뒤덮는 괭이갈매기와
바다
제비 등은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장관을 형성한다. 앞으로 전문적인 학술조사단이 탐사와 연구를 계속해 독도의 지형지질과 생태계에 관한 더욱 자세한 보고서가 나와야겠다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맙니다. 잔잔한 호수에서 보트를 탈 때에는 나침반이 없어도 되지만 큰 파도가 일어나는
바다
에서 길을 잃었을 때에는 반드시 올바른 방향을 찾을 수 있는 나침반이 필요하겠지요.자연현상을 바로볼 수 있는 시각이 마련될 때까지는 질문에 대한 핵심이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장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두께 60㎝의 얼음이 얼었다. 이 얼음은 9월하순 폭풍으로 깨어져 나갈 때까지 온통
바다
를 덮었다. 이때를 이용해 연구원들은 얼음에 구멍을 뚫고 해저퇴적물을 채집했다. 또 4시간 간격으로 24시간 연속 해수의 수온과 염분을 측정했으며 식물성 동물성 플랑크톤도 채집했다.89년 1월에는 앞서 말한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