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d라이브러리
"
바다
"(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하는 사람이 연구할 과제이며 개척할 분야일 것이라고 생각된다.자! 저 넓고 푸른
바다
의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보라. 한번 도전해 보고 싶지 않은가 ... ...
배와 조선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사양길에 접어들어 더이상 유망하지 않은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바다
의 무한한 잠재력과 세계 2위권에 올라선 한국의 조선공업을 생각할 때 성장의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단지 일대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을 뿐이다. 조선공업의 장래가 밝다는 근거로 PART I 에서는 새로운 분야, ... ...
PART1 첨단 선박들에는 어떤 것이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off Vessel)은 유럽지방에서 많이 쓰이며 선박에 자동차 트럭 트레일러 등을 혼재하여 싣고
바다
를 건너 타국이나 타지역에 옮겨 주는 선박이다. 로로선은 선미나 선수, 선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차량이 올라가는 램프(배에서 부두로 향하여 뻗칠 수 있는 다리)를 설치해 두고 있어 차량이 스스로 배애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몰락은 상상할 수 없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
로 둘러싸인 반도국으로
바다
지향적인 지리적 요건과 이만큼 축적된 산업역량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가.중화학공업의 선두주자조선공업은 기계 철강 전기 전자 해양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높은 연쇄효과를 지니는 종합조립산업이다. 다른 어떤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있다. 어느쪽이나 화산활동으로 생긴 섬이지만 산호초호수도 연안평야도 없다. 산이
바다
에 바로 내려뻗어 있어 주민들은 좁은 계곡에 살고 있다. 작가 '멜빌'도 한때 이 섬에 머물었으며 바위뿐인 험한 해안과 가파르게 치솟아 있는 낭떠러지, 수목이 울창한 협곡 등이 그의 작품 여러곳에 묘사되어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범선이 보편화됐다. 중세기와 지리상의 탐험시대에 범선은 그 전성기를 구가하면서
바다
의 정복자로 이름을 떨쳤지만 19세기부터 동력선이 탄생하고 철선과 강선(鋼船)이 차레로 나타나면서 오늘날에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이글에서는 각 시대에 등장했던 배들 중에서 특출하게 거대한 위용으로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것은 수심측정기이다. 수심측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초음파 변환기를 써서 강이나
바다
의 바닥방향으로 초음파 펄스를 발사시키고 그것이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 바닥면의 거리를 알게되는 것이다. 요즈음은 배가 진행하면서 계속 초음파를 발사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바닥면의 단면을 ... ...
돌고래의 언어습득 훈련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언어를 이해하는데 가장 뛰어난 동물은 침팬지와 돌고래로 알려지고 있다.특히 돌고래는
바다
포유류 가운데 몸집에 비해 가장 큰 대뇌를 갖고 있으며 인간의 여러 제스쳐를 재빨리 익히는 영특함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돌고래에 인간의 말을 습득시키려는 노력은 지난 50년대부터 ... ...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모래 그리고 백묵가루를 뿌려놓은 듯한 이상한 흔적들.이 흰색의 흔적은 태고에 이땅이
바다
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사실 미국 에너지국이 '왁사하치'(Waxahachie 인디언 지명)에 세계 최대, 최첨단의 초전도 거대가속기(Superconducting Supercollider: S. S. C)를 건설하려고 하는 것은 이 지역이 과거 해상(海床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석기는 예술품으로 여져질 정도이다.다음으로 좋은 돌감은 부싯돌(프린트)이다. 이는
바다
속에 가라앉은 고은 규산이 눌리고 열을 받아서 생긴 돌이다. 이 돌은 흑요석보다는 떨어져도 결이 곱고 낱알도 가늘어 구석기시대 사람이 즐겨 쓰던 돌감이었다. 특히 이돌은 유럽에 많이 퍼져있었다.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