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로 냉각의 한계를 넘어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핵분열 연쇄반응의
양
과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다. 원자로에서 핵분열 결과 발생한 열에너지는 물과 같은 냉각재로 식힌다. 이 때 뜨거워진 물은 밀도 차에 의해 움직이고 이 움직이는 물로 전기에너지를 만든다.만약 파이프 어딘가에 구멍이 나서 밖으로 물이 새면 어떻게 될까? 물이 빠져나가면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특정한 신호분자에 의해 진행된다는 것이다. 다음 실험은 서로 다른 세포주기에 있는 배
양
된 포유동물세포의 융합을 유도한 실험이다.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이 실험의 결과는 제시문의 두 가설 중 어떤 가설을 지지하는가? 2) 세포주기의 각 단계가 다음 단계를 유도한다는 가설이 맞다면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물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25억 개가 버려졌다. 디스플레이시장에서 사용량이 확대되고 있는 LCD 패널은 폐기되는
양
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과학기술계는 전망한다. 지난 6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는 올해 전 세계 LCD TV 판매량이 지난해보다 21%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연구팀의 제임스 클락 교수는 “LCD 패널의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실감하고 있었다.“히말라야 산자락을 따라 빙하가 무서운 속도로 녹고 있어요. 엄청난
양
의 얼음이 한꺼번에 녹아 내려오니까 산 아래엔 홍수 피해도 잦아졌죠. 산 위에서 내려오는 수량이 많아지면서 골짜기가 깎여 나가 산사태도 일어납니다. 이런 산사태 때문에 빙하가 더 많이 녹게 되죠 ... ...
여행지에서 먹는 물 걱정 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제논 라이트 2400펠리칸 | 6만 6000원소형 전등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1만cd(칸델라, 빛의
양
을 표시하는 단위)의 밝기로 50m 정도 떨어진 곳도 환하게 비춘다. 여기에 물속 20m까지 들어가도 끄떡없는 방수 기능까지 갖춘, 일반 소형 전등의 한계를 넘는 고성능 제품이다.브런튼 에코 컴팩트 8×25브런튼 | 1 ... ...
유전의 핵심은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폐렴쌍구균 실험으로 DNA가 형질전환을 일으키는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DNA의
양
을 증폭시킬 수 있는 PCR기술을 통해 생명과학기술은 크게 발전했다.DNA는 종을 결정짓는 부분과 개체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뤄진다.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벽의 두께가 0.1㎜밖에 되지 않는데도 아주 튼튼해서 벌집 자체보다 무려 30배나 무거운
양
의 꿀을 저장할 수 있단다.멋을 아는 동물의 집설명을 듣고 나니 안심이 되는군요~! 이제 선생님께 제 꿈의 집을 지어 달라는 부탁을 드려도 될 것 같아요. 그런데 하나가 마음에 계속 걸려요. 제가 꿈꾸는 집은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우유 속 단백질 때문에 거품이 형성되는데, 이때 공기가 뜨겁기 때문에 거품을 형성한 모
양
대로 단백질이 굳어 버린다. 이미 굳어 버린 거품은 더 이상 증기를 불어 넣지 않아도 사라지지 않는다. 이렇게 생긴 거품은 그냥 우유를 저을 때 생기는 거품보다 훨씬 안정적이다.사실 더 안정적인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있다. 제품이 100% 단백질이라고 해도 안심할 수는 없다. 보충제에 들어가는 단백질은
양
보다 질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식약청에서는 히스티딘, 이소류신, 류신, 라이신을 비롯해 우리 몸이 합성하지 못하는 필수 아미노산 9가지의 기준량을 정하고 제품에 함유된 아미노산 중 어느 한 성분이라도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그런데 세포 하나에 3만 여 개의 유전자가 들어 있다 보니 유전자가 만든 단백질의
양
이 얼마나 되는지, 어떤 형질을 갖고 있는지 일일이 조사하는 일이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IT가 발전하면서 한 번에 400만 개의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게놈 애널라이저’라는 장비가 개발됐다. 이 장비 덕분에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