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브래지어가 유방암을 유발한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유전자, 알콜, 30세 이상의 초산, 55세 이후의 페경, 모유 수유 경력이 없는 경우, 폐경 이후의 비만 등이다. 저자가 언급한 섬유낭병(유방에 생기는 혹)은 양성 종양으로, 악성 종양인 유방암과 전혀 관계가 없다.어떤 다큐멘터리에서는 여성의 모세혈관을 직접 촬영해 브래지어를 착용했을 때 혈류 ... ...
- [생활] 라틴어에서 탄생한 +와 -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사용했다. 이것을 연산기호로 처음 사용한 사람은 1514년 네덜란드의 수학자 호이케였다. 이후 여러 수학자들의 노력에 의해 +와 - 기호와 표기법이 자리잡게 된다.+와 -기호의 탄생 이후, 16세기 유럽에서 여러 수학 기호들이 하나 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기호들이 등장하며 수학은 장황한 문장 ... ...
- 영화, 수학으로 생생하게 즐긴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함>으로 기술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기도 했다.페드코우 교수의 성공 사례 덕분인지, 이후 수학 방정식을 이용해 시뮬레이션 하는 일이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 그래픽스 전문가가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수학자에게 의뢰하기도 하는 등, 이제는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에서 수학이 떼려야 ... ...
-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기원전 3세기에 유클리드가 자신의 저서 을 통해 기하학을 정립한 것이다. 이후 2000년 넘는 세월 동안 전세계 기하학을 지배해 왔다. 그런데 19세기에 들어서 유클리드가 상상한 기하 공간이 우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우주 공간 자체는 휘어져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시간은 3분. 213번 물품보관 사물함 안에는 폭탄이 들어 있어. 그 폭탄은 정확히 3분 이후에 터지게 되지. 폭탄이 터지면 비밀번호를 맞히더라도 사물함은 절대 열리지 않을 거야. 그러니 시간 이내에 비밀번호를 맞혀 사물함 안에 들어 있는 다음 미션 봉투를 꼭 읽도록 하게. 그럼, 행운을 비네!”“7, ...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행사를 진행한다. 2014년 말 열리는 최종 결선 진출이 확보되는 팀은 모두 8개로, 22일 이후 발표할 계획이다. 트랙D로 KAIST팀이 추가로 출전할 것을 감안하면 2014년말에는 모두 3개의 한국팀이 200만 달러의 최종 우승 상금에 도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오준호 KAIST 교수(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는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오일러가 빌딩유닛(Building Unit) 개념을 이용해 이 법칙의 원리를 설명했다. 오일러 이후 1800년대 후반에는 에바리스트 갈루아의 이론이 결정학에 영향을 미쳤다. 갈루아는 ‘군(群, Group)’의 개념으로 도형의 선과 점, 면이 만드는 대칭군을 설명했고, 이 이론은 훗날 결정 구조를 설명하는 데 큰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사상은 로마 제국까지 이어져 서양에서는 약 1000년간 진공과 0을 받아들이지 않게 된다. 이후 로마제국이 멸망했지만 과학의 암흑기로 불리는 중세시대가 1000년간 이어지면서, 결국 2000년 넘게 진공과 0을 거부하게 된다.628년 0의 여정, 인도에서 유럽까지0이 왜 필요없는지 이제 좀 알겠지? 그런데 0을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드러나는 눈 결정 사진을 얻을 수 있었다. 눈 결정 촬영을 시도한 지 2년 만의 일이었다.이후 벤틀리는 66살이 될 때까지 무려 5000장이 넘는 눈 결정 사진을 찍었다. 눈 결정 사진에 일생을 바친 것이다. 벤틀리는 “자신이 찍은 수천 장의 눈 결정 사진 중에 똑같은 눈 결정은 단 한 개도 없었다”며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아이손은 머문 자리도 아름답다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워지는 11월 28일 이후, 매일 밤 동쪽 하늘에서 혜성을 볼 수 있어요. 과학자들은 아이손이 맨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반짝반짝 빛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답니다.혜성이 지나간 자리도 놓치지 마세요. 혜성의 꼬리만큼 아름답거든요.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