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털어놓았다. “최근에서야 강연을 듣거나 책을 읽는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창업 이후 얼마 전까지만 해도 그런 시간을 전혀 낼 수 없었어요. 전투에서 덜 치열한 격전지에서 전장을 내려다봐야 전략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을 텐데, 전 최전선에서 총 쏘기 바빴거든요. 자기계발을 할 여유가 전혀 ...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유악어류가 번성하던 어느 날 일부 어류는 땅 위로 진출해 육상동물의 조상이 됐다. 이후 양서류, 파충류, 수궁류, 포유류로 이뤄지는 진화 과정에서 입은 더욱 향상된 기능을 지니게 됐다. 양서류에서 파충류까지는 먹이 전체나 먹이를 크게 잘라 삼키는 방식으로 먹는다. 반면 수궁류(현 포유류의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사람들이다. 미국이 세계 최강국가가 된 것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각국의 우수한 학자들을 대량 흡수했기 때문이다. 한국도 더 많이 개방하고 더 많은 글로벌 우수 인력을 유치해야 한다.그러려면 우선 대학에서부터 영어를 써야 한다. 이는 모국어 대신 영어를 공용어로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되겠어 하고 마음을 다시 잡았죠.” 다음 번 승진 기회를 놓치지 않은 정 원장은 그 이후로는 오히려 고속승진을 거듭했다. 사무관을 좀 하니까 과장으로 올라가고, 다시 부장이 됐다. 그리고 어느새 국과수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됐고, 국과수의 꿈이었던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승격이 되면서 첫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수가 되다졸업 후 오 교수는 한국으로 돌아와 1985년 KAIST 교수 임용시험에 합격했다. 그 이후 지금까지 로봇 한 가지에 매진하고 있다. 오 교수는 자신의 삶에서 가장 힘들고 어려웠던 시절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 ‘항상 지금 이 순간’이라고 답했다. 과학자로서 연구를 하다 보면 모든 문제는 결국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십수년 이상 쌓이자 마침내 주변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결국 우리나라는 2006년 이후 바이오디젤을 의무적으로 디젤연료에 첨가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마침내 바이오디젤 전용 주유소마저 들어서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런 주유소를 찾아가면 일반 주유소 보다 값이 싸고 환경도 적은 인공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리고 위성관제 및 영상 수신처리 지상국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해 왔다. 라작샛 이후 아랍에미리트로부터 두바이샛 1호와 2호, 그리고 3호를, 스페인으로부터 데이모스 2호를 수주했다. 무게 200㎏에 해상도 2.5m급의 라작샛과 두바이샛 1호는 2009년 7월 우주 궤도에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간의 변화도 시험해볼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최근 서울시가 공개한 1970년대 이후의 서울 항공사진을 이용해 서울 한 지역의 공간 변화를 시간순으로 비교해 봤어요. 직접 보면 예상과 굉장히 다릅니다. 미디어를 통해 직접 구체적으로 본다는 것은 이렇게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19세기 초부터 100년 동안 많은 발명가들의 손을 거치면서 정교한 장치로 발전했다. 이후 사진 기술과 접목되면서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장르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수학자들이 두각을 나타냈다.페나키스티스코프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사이몬 본 스탬퍼와, 벨기에의 물리학자 조셉 ... ...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기원한 별 모양은 이슬람의 가장 초기부터 장식과 타일 무늬에 자주 쓰이곤 했다. 이후 12세기 중반부터 이슬람 예술가들은 원의 호와 별 모양을 이용해 화려하고 정교한 기하학적 무늬로 발전시켰다.이슬람 별 무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처음으로 연구한 사람은 20세기 초 영국의 어니스트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