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계로 미래를 본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리고 거북에게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어요.“달리기 경주에서 꾀를 부리다가 진 이후 부끄러워서 제대로 얼굴을 들고 다닐 수가 없었어. 우리 다시 한 번 달리기 경주를 하자.”거북은 통계자료를 뒤적이더니, 한참 뒤에 말을 꺼냈어요.“할아버지 시대에는 몰라서 그랬지만, 지금은 달라. 이변이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말한다. 현재 지구 기후는 동시대에 배출한 이산화탄소 때문이 아니라 산업혁명 이후 수십 년 동안 누적된 결과기 때문이다. 인류가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20%이상은 1000년 이상 대기에 남을 것이라고 한다. 과연 지구의 미래는,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 앞으로 쏟아져 나올 노벨상이 많다?가장 핵심인 이론이라서 가장 먼저 노벨상을 받았고 이후 관련해 많은 상이 쏟아질 것 같지만, 그럴지는 미지수다. 무엇보다 관련한 이론 가운데 먼저 받은 게 아니다. 오히려 아주 늦게 받았다(그래서 위에 ‘노벨상의 잃어버린 고리’라고 표현했다). 길고 ... ...
- [과학뉴스] 토성, 타이탄에서 플라스틱 재료 발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먼 미래에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살게 된다면 석유는 필요 없을 것 같다. 현지에서 찾아낸 재료로 플라스틱을 만들면 되기 때문이다.미국 ... 크고 빠른 소용돌이가 육각형을 이루며 회전하고 있다. 1980년에 보이저 1호가 발견한 이후 33년 만에 소용돌이의 전체 모습을 온전히 촬영한 것이다 ... ...
- 70억 인류 정말 한가족일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개념을 만들었고, 원주민을 자신들과 다른 인종에 속한 인류로 구분하기 시작했습니다.이후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인종이 생물학적으로 어떤 개념인지 논쟁이 일어났습니다. 가장 극단적인 것은 “인종이 곧 서로 다른 종이며, 지구에는 세 개의 다른 종이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이 말은 백인종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후두 절제술을 비롯하여 식도절제술, 위절제술을 세계최초로 시도해 성공했다. 빌로트 이후로 외과의사는 확신을 갖고 환자의 배 안을 열게 됐다. 기술 발전으로 의학의 꽃이 되다19세기 말에는 다양한 기술이 발전했다. X선을 이용해 인간의 몸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 것도 그 중 하나다. X선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말했다. (특히 그는 이 과정에 다니면서 현재의 배우자를 만나 결혼도 했다.)정 파트장은 이후 영어 공부에 특히 힘썼다고 한다. 그는 우리나라 사람이 원어민처럼 영어를 듣고 말하지 못하는 것은 영어권 문화에 푹 빠져있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만일 현지에 간다면 생존을 위해서 습득을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액체로켓 개발 과제를 마치고, 러시아와의 나로호 협력사업까지 이끌어낸 이 단장은 그 이후 2004년 항공분야를 총괄하는 자리로 옮긴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성과는 누가 뭐래도 한국형 헬기 개발사업, 즉 수리온 개발을 총괄 지휘했던 일이다. 수리온은 연구과제가 워낙 크다보니 2006년부터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는 “학원에서는 시험보기 한 달 전부터 준비를 시킨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그 이후 학원에 다니는 친구들보다 더 일찍 시험 준비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험이 끝나자마자 한 두 주 정도 여유를 갖고, 다름 시험을 준비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공부를 열심히 했던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거야, 에헴. 1609년에 만든 최초의 망원경은 물체를 3배 정도 확대할 수 있었지. 하지만 이후 렌즈와 경통을 조합해서 20~30배 짜리 망원경으로 개량했어. 난 이 망원경으로 달의 울퉁불퉁한 겉모습을 관찰하고 스케치를 남겼지. 게다가 목성의 위성을 최초로 발견하지 않았겠어? 그래서 목성 위성 네 개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