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하지만 규칙을 세우는 것마저 매우 어려웠고, 끝내 그는 이런 패턴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세포가 가질 수 있는 상태의 개수를 바꿔가며 연구에 매달렸지만, 쉽게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그런데 1984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크리스토퍼 랭턴이 8개의 상태를 가지는 세포로 자기 ... ...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수학동아 l2013년 09호
- 방식을 발전시켜 컴퓨터에 적용한 ‘대칭 암호’가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컴퓨터와 통신망이 결합되기 시작하면서 대칭 암호로는 중요한 정보를 지키기 어렵게 됐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비대칭 암호’라고도 부르는 ‘공개키 암호’입니다.인터넷의 탄생, 대칭 암호를 위기에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세포는 서로에게 흔적을 남겨왔다. 인간의 유전체 정보가 대부분 밝혀진 2000년 이후 과학자들은 이 흔적을 추적하기 시작했다.먼저 바이러스와 세포는 같은 유전정보 언어를 쓴다. 핵산은 바이러스와 세포 모두가 정보의 저장매체로 쓰는 물질이다. 세포 생명체가 DNA만을 쓴다면 바이러스는 DNA외에 ... ...
- Bridge. 사람이 일으키는 대유행 전염병, 바이오테러과학동아 l2013년 08호
- 1979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박멸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이후 백신 접종이 중단돼 1980년 이후 출생자는 거의 면역력을 갖고 있지 않다. 또 효율적인 치료 방법이 없으며 치사율은 30~40%에 이른다. 1989년 당시 구소련은 연 수십t의 천연두바이러스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대륙간 탄도미사일에 장착해 ... ...
- 기생충은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풀밭에 널려 있던데, 혹시? 예방약 라리암을 게을리 먹었는데, 모기가 옮긴 말라리아?그 이후 반 년이 지났지만 추가 증세가 없는 것으로 봐서, 다행히 기생충에 걸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웃기다. 취재에 동행한 교수와 연구원 다섯 명 중 세 명이 기생충학자였다.기생충에 잘 걸릴 만한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것을 바탕으로 사망률을 6%선으로 추정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첫 환자가 발생한 2012년 이후 지금까지 15명의 감염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8명이 사망했다(7월 10일 자정 기준).작은소참진드기는 1~2mm크기의 진드기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다. 하지만 이 중 SFTS 바이러스를 보균한 진드기는 0.5%이하로 ...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통계를 개개인에게 적용할 수는 없다.이번 아시아나 항공기 사고 이후로 여러 언론 매체가 이와 비슷한 확률과 통계를 보도했다. 통계의 기준에 따라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비행기를 자동차보다 특별히 더 두려워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1984년 NASA와 FAA의 비행기충돌실험 당시 ... ...
- 조선초기 호랑이는 물가에 살았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호랑이다. 하지만 1930년대까지 호랑이를 잡았다는 다른 공식 기록도 적지 않다. 해방 이후에도 남한에서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제보도 있었고, 1960년대 초반에는 합천의 가야산 일원에서 표범이 잡혀 당시 동물원이 있던 창경원에 옮겨진적이 있다. 그리고 그것이 마지막이었다.야생의 한국 호랑이와 ... ...
- 빠수니 탈출 백서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장단점은 존재한다. 팬덤 활동이 청소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2000년 이후로 많이 등장했다. 팬클럽을 통해 사회활동을 시작면서 문화 실천의 주체로 발전할 수 있다거나, 내가 그랬듯 친구들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공감대를 형성하며 사회성을 높여 나간다는 등이다.➑ ... ...
- 실버사회 지켜줄 아이언맨 군단 온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쓸 수 있게 되는 날은 언제일까. 전문가들은 재활치료용 입는 로봇 시장이 2014년 이후 연평균 69%씩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 연구진 또한 10년 전부터 여러 형태의 로봇 연구를 진행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들이 전철을 타기 위해 계단을 뛰어 올라가고, ... ...
이전349350351352353354355356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