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정조 때에 중건하여 흥륭사라 불렀으며 발해왕국 때의 것으로는 석등이 하나 온전하게
남아
있을 뿐이다.외성과 내성 궁전 등의 배치도를 간략하게 그려놓은 고성유적안내문 마지막에는 '발해상경용천부유지는 중국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당대의 동북지구역사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있는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도움으로 진상이 밝졌지만 80년대에는 이밖에도 수많은 의문사가 해명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우종원군(85년 당시 23세·서울대4년) 김성수군(86년·18세·서울대 1년) 신호수군(86년·24세·근로자)사건이 그렇고 올해들어와 이철규군(조선대생) 이내창군(중앙대 안성분교 학생회장) 의 '의문의 죽음'이 ... ...
청동기 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더 불가사의한 제도(製図) 솜씨가 나에게 지금까지도 쉽게 풀어지지 않는 수수께끼만
남아
있다. 아마도 숙련된 기능을 가진 현대의 제도사가 좋은 제도기를 가지고 트레이싱 페이퍼에 그린다 할지라도 20일 이상은 작업해야 완성할 것으로 보인다.20cm가 채 안되는 원의 공간에 1만3천개의 원과 ... ...
인류 최대의 문화유산 앙코르와트사원을 구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에게 "이 사원은 천사의 왕이 지었지만 악마들이 살고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프랑스의 극동학교는 이 사원의 수리 복원에 집중적인 노력을 했다.수세대에 걸쳐 복원하고 연구하는 동안 고고학자들은 이 사원이 세계최대의 문화유적임을 확신하게 되었다.캄보디아에서 프랑스가 ... ...
없앨 수 없는 것(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물과 공기는 침투할 수 없으며 녹슬거나 썩거나 곰팡이가 끼지 않는다. 실제로 영원히
남아
있게 되며 계속 그런 상태로 쌓이게 된다.우리가 버리는 모든 물건들은 사실상 자연의 작용에 의해 처리되고 만다.금속은 녹슬어 가루가 된다. 나무는 썩는다. 종이는 분해된다. 사체(死体)는 썩는다. 동물의 ... ...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수 밖에 없어 컴퓨터공급시기에 있어 학교별 편차가 불가피할 만큼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다.전문교수인력과 컴퓨터 기가재의 절대적 부족과 함께 컴퓨터교육의 기본 방향에 대한 일선교사의 인식이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것도 학교 컴퓨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중 하나이다.개발 시급한 ... ...
인공지능연구 상당한 진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이러한 컴퓨터에 유사성과 유추라는 개념을 가르치는 매우 중요하면서도 어려운 작업이
남아
있다. 인공지능연구는 어디까지컴퓨터비전(vision)분야는 이미 산업에는 여러가지로 응용되고 있다. 염색체의 관찰이나 대량의 기록을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는 등등. 그러나 어떤 컴퓨터도 인간이 갖고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때문이다.아무튼 대변혁설이 새롭게 대두된 것은 분명하나, 아직도 많은 의문이
남아
있다.지구는 다세포생물이 등장한 이래 5차레의 대멸종기와 수십차례의 소멸종기를 맞았었다. 그렇다면 알바레즈의 이론은 백악기사태라는 특별한 사건에만 적용되는 특수이론인가, 아니면 모든 사건을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것인가?후자의 질문은 사실 오늘날의 진화학설에서 중요한 쟁점(爭點)의 하나로
남아
있다. 종전에는 다윈(Darwin)의 진화의 점진설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전자의 질문의 경우, 그 원인을 급격한 환경변화에 돌릴 수 있을 것인가? 1978년에 미국의 몇몇 대학교수들이 이탈리아의 구비오라는 곳의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새로 발견한 미기록 종이 잘 나타나 있고, 두루미류의 도래와 월동실태, 남한에는 1쌍만
남아
있으나 북한에는 꽤 많은 크낙새의 생활사가 희귀조류의 실태조사는 높이 평가할만한 연구성과로 보여집니다.그러나 세계수준과 비교할 때 북한의 조류학은 아직 걸음마 단계예요. 이 점은 남한도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