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쇠현상의 주된 원인의 하나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될때 심해져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들수록 쇠약해지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이 메카니즘은 아직도 불분명한채
남아
있다.최근 오스트렐리아 '모나쉬'대학의 생물학자 '앤터니 라이낸'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누적되는 손상이 노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것 같다고 발표,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붐비고 있고 동부에는 국제공항이 있고 '이스타팔라파'에는 아스테카시대의 생활양식이
남아
있다. 또 서부의 일각, '차플테펙'언덕에는 멕시코의 전망대 역할을 하는 성이 있으며 옛날부터의 별장지대가 있다. 이곳에는 지금 멕시코가 자랑하는 국립인류학박물관(1964년 준공)이 자리하고 있다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한다(난포발육시부터 배란이 일어나기 까지의 기간을 난포기라 칭한다). 배란후 난포에
남아
있는 과립막세포와 난포막 내층세포는 LH의 도움을 받아 황체로 변한다. 일단 형성된 황체는 다량의 프로제스테론(progesterone)과 에스트로젠을 분비하기 시작하는데 수정과 임신이 일어나지 않는한 약 14일간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남사면은 험준한 낭떠러지로 둘러싸여 있으며, 빙하의 깎임작용에 의한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장백폭포의 생성 과정천지호수가에서 장백폭포까지의 거리는 약 1.2㎞이다. 호수물이 흐르는 골짜기는 V자형으로 처음에는 넓다가 폭포 가까이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이 골짜기의 양편에 있는 산봉우리는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검정코뿔소는 처음에 케이프주 일대에서 상당히 많이 서식했으며 1700년 경에는 지금의
남아
연방에도 많이 퍼져 살고 있었다. 하지만 케이프주에선 1853년 이후 검정코뿔소를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936년 '호부레이'씨는 검정코뿔소가 20세기 들어 ... ...
서울과학고등학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특별활동을 하지 않고 곧바로 도서관에 들어가는 학생도 있다. 현재 90% 이상이 학교에
남아
공부하고 있다.식당은 학부모들이 순번제로 당번을 하여 전학생들에게 점심과 저녁을 제공하며 과기대 진학을 위한 속진반의 경우는 숙식을 제공하는 생활관에서 생활한다.교무주임 이광만(물리·47세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외래물질은 아직 그것이 이해되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기 때문에 미세한 크기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쏜은 외래물질의 존재가능성을 50대50으로 보고 있다.) 만일 외래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도 외래물질을 관통하는 ... ...
자원식물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했다.현재 동
남아
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등의 저개발국에는 풍부한 식물자원이
남아
있으나 보존할 태세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 그중 특히 심각한 곳이 중국으로 본토가 넓고 자원이 많은데도 수집보존 전문가가 적다.그래서 국제식물유전자원이사회가 지원하게 되었다. 지난 85년 개설된 중국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것이다.세종 때부터 측우기는 수없이 만들어졌지만 애석하게도 지금은 오직 하나만이
남아
있다. 국립기상대에 보존되어 있는 1837년의 청동제 측우기가 그것이다. 공주 감영에서 만든 이 측우기도 십여년 전에 일본기상청에서 되돌려 받은 것이다. 1920년 초의 보고에 의하면, 그때까지만 해도 영조 ... ...
빙하기는 영원히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학자들은 이 간빙기의 끝에 우리가 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구가 계속 빙하상태로
남아
있지 않는 것은 공전궤도의 변화 때문.그런데 온실효과라고 불리우는 현상의 원인인 이산화탄소가 산업혁명 이후 거의 가속적으로 늘기 시작, 앞으로는 과거와 같은 기후패턴이 무너지고 따뜻한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