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마이크로 RNA는 크기가 핵산이 22개 정도 되는 작은 RNA로, 1993년에 꼬마선충에서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하다 1998년 RNA가 강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유도한다는 ‘RNA 간섭(RNAi)’ 현상이 밝혀진 후 재조명됐다. 당시까지 마이크로 RNA는 큰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많아지자 같은 쪽을 사용하도록 변화했다. 그렇다면 왜 모두가 오른손잡이가 아닐까. 이 작은 차이를 만든 것은 바로 ‘경쟁’ 때문이다. 협동을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같은 방향으로 행동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경쟁을 할 때는 변칙적으로 다른 방향을 써야 앞서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아브라함 ...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게 있으면 누가 뭐래도, 이익이 될지 따지지 말고 해보는 그런 순수함이 있었으면 해요.작은 것에서 재미를 느꼈으면 좋겠어요. 저는 연구는 ‘성격’으로 한다고 얘기해요. 남들이 저에게 흥분 잘한다고 해요. 뭔가를 보면 ‘우와! 신기하네. 재밌다’ 하고 흥분하거든요. 그런 자세가 중요해요. ...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개구리는 손바닥만 한 큰 개구리가 아니라 엄지손톱의 크기 정도로 작다. 왜 이런 작은 개구리가 살벌한 독을 분비하게 됐을까? 이유는 개구리의 포식자인 뱀 때문이다. 처음에 개구리는 약간의 독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 뱀이 개구리를 먹고도 멀쩡하게 살아남자, 개구리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 ...
- 초파리 애벌레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신경세포에는 다른 신경세포가 보내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전달하는 ‘수상돌기’라는 작은 돌기가 붙어 있어요. 저도 마찬가지구요. 그런데 과학자들이 제 신경세포를 조사하다가 수상돌기 끝에 이 단백질이 가득 달려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거죠. 단백질을 떼어낸 제 친구는 아무리 문질러도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이 작품은 놀랍게도 무한을 주제로 한 것이다. 자세히 보면 그림의 중심으로부터 아주 작은 고리가 점점 커졌다가, 그림의 가장자리에 가면 다시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어떤 도형이 무한히 작아지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뱀은 이런 무한 도형을 둘러싸고 있는 우주다. 즉, 에셔는 ... ...
- PART 1. 당신이 알던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DNA는 1950년대에 들어서야 겨우 구조를 드러낼 정도로 작은 물질이다.하지만 그 안에는 신비할 정도로 정교한 구조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NEO DNAPART 1. 당신이 알던 DNA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RNA(rRNA) 유전자를 주로 쓴다. 메타지노믹스를 연구하면서 인류가 깨닫게 된 게 있다. 작은 공간에도 수많은 미생물이 군집을 이뤄 살고 있다는 사실이다.예를 들어 관악산 아무 곳에서나 흙 한 숟가락을 퍼도 그곳에서 1만 종 이상의 세균과 고세균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토양 곰팡이까지 더하면 ...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은하를 이룬다. 이런 은하 1000여개가 모이면 ‘은하단’이 된다.(우리 은하는 은하단보다 작은 규모(40여개의 은하)인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1933년 스위스의 천문학자 프리츠 즈위키는 은하단에 속해 있는 은하의 이동속도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은하단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은하단의 ...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실렸다. 북대서양 지역에서 발생하는 중간 규모 폭풍은 태풍이나 허리케인보다 약간 작은 규모인 직경이 약 500km이며 24~36시간 동안 지속된다. 1년에 수백 차례 이상 발생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 폭풍을 예측할 수 없었고 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규명하지 못했다.연구팀은 컴퓨터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