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잭피쉬가 사람들이 건네는 빵조각을 보고 흥분해서 달려들었어요. 산호 바위에서는
작은
물고기들이 탐사원들의 발을 마구 공격했어요. 알고 보니 흰동가리와 해포리고기가 알을 보호하려는 행동이었답니다. 열대어 수십 마리와 산호를 눈으로 확인하고 만져 보는 경험은 직접 해 보지 않고는 알 수 ... ...
피부랑 꼭 닮은 센서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걸러낼 수 있거든요. 그래서 기판에 고분자 액체를 흘려 넣는 방법으로 깨알보다도 훨씬
작은
나노크기(10억분의 1미터)의 섬모를 빽빽하게 붙였답니다.이 센서는 사람의 피부처럼 누르고 당기고 비트는 감각을 한꺼번에 느낄 수 있어요. 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이나 맥박, 혈관의 압력 차이처럼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염소보다 미생물 살균에 더 효과가 좋아. 오존 처리시설을 거치면서 제거되지 않은 아주
작은
유기물질은 2.5m 두께로 쌓인 활성탄층을 지나며 흡착되고 분해되지. 활성탄이 나머지 악취 물질을 모두 없애 주는 거야. 녹조 강물은 해롭지 않다?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 중 일부가 사람에게 해를 끼칠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해저 유물 찾아 낸다타이타닉호를 탐사할 때 가장 큰 공을 세운 건 제이슨 주니어라는
작은
잠수 로봇이에요. 원래 전파탐지 장치와 미사일을 찾아 내는 용도로 개발한 군사 로봇이었는데, 발라드 박사가 타이타닉호 안으로 들여보내 특수카메라로 선실 안을 구석구석 촬영해 세상에 알렸어요. ...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실명할 수도 있답니다. 신비로운 해양 생물들을 만날 수 있는 아쿠아리움은 정말
작은
행성인 것 같아.맞아~. 지구의 바다를 한 곳에 담아 놓은 것 같아. 그리고 보니 표면의 70%가 바다로 덮인 지구가 바로 물의 행성이구나! 이번 ‘어린이과학동아’ 취재 임무는 물의 행성 지구의 바닷속을 ... ...
아이스 바처럼 녹아내리는 그린란드 빙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에서도 그린란드의 빙하를 위성으로 관측한 사진을 공개했어요. 지난 7월 8일에서 12일(
작은
사진에서 왼쪽과 오른쪽) 사이 나흘 동안 섬의 약 97% 지역에서 빙하가 녹았대요.그린란드는 ‘초록색 땅’이라는 이름과 달리 대륙의 약 85%가 얼음에 뒤덮여 있어요.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자연사박물관 ... ...
앗, 귀신의 장난인가? 춤추는 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된단다. 생각해 봅시다1. 춤추는 시계에 있는 톱니바퀴 2개의 톱니 수를 세어 봅시다.
작은
톱니바퀴가 한 바퀴 돌때, 큰 톱니바퀴는 몇 바퀴를 돌아야 할까요?2. 구슬을 달고 있는 실의 길이를 재 봅시다. 실이 지금보다 짧거나 길어지면 춤추는 시계가 움직이는시간이 어떻게 변할까요? 상진아, ... ...
우주휴가 즐기는 네 가지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일우리 미국이 질 수는 없지. 우린 달에 첫 발을 내딛었어. “이것은 나 한 사람이 내딛는
작은
발걸음지만, 인류 전체에 있어서는 위대한 발걸음이다.” 어때 이 말 멋있지? 난 미국의 우주인 닐 암스트롱이야.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를 타고 달에 착륙한 뒤 이런 명언을 남겼지.나는 달 우주인이다 ... ...
우산 vs 양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곧 동그랗게 뭉쳐져 연잎을 타고 굴러 떨어진답니다. 연잎 표면이 물방울을 밀어내는
작은
돌기로 덮여 있기 때문이에요. 이 연잎을 흉내 내면 여러 방수제품을 만들 수 있지요. 최근에는 포스텍 화학공학과의 용기중 교수가 연잎을 모방해 물속에서도 작동하는 ‘방수 메모리’를 개발하기도 ... ...
어메이징 모기맨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4호
작아 자극을 줄인다. 침 다발을 감싸고 있는 ‘아랫 입술’은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작은
힘으로도 쉽게 침이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모기 침 끝의 두께는 불과 80μm(마이크로미터). 머리카락 두께와 비슷하다. 침은 부드러운 키틴질로 되어 있어 세포에 상처를 내지 않는다. 피를 빨아올리는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