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매미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탈피할 무렵에는 굵은 뿌리 근처에서 생활한다. 거기에서 얻은 양분을 섭취하면서 땅
표면
쪽으로 길게 굴을 파놓고 그 굴 밑바닥에서 5령유충으로 탈피한다. 이 5령유충이 매미로 탈바꿈할 때가 다가오면 그 유충은 땅위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땅위로 통하는 굴을 파놓고 나올 준비를 하고 있다가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활동리듬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낮에는 조직 속에 있는 색소과립이 외골격의
표면
으로 퍼져 어두운 색이 되고 밤이 되면 이색소 과립들이 뭉쳐 밝은 색으로 보인다. 이 리듬은 약 24시간을 주기로 하여 일정점형으로 나타나고 게의 활동리듬은 삼정점형으로 복잡하게 나타난다.또한 로빈새의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상태를 유도한다. 셋째로 어떤 암세포는 점액성 단백질(mucoprotein, sialomucin)을 자신의
표면
에 뒤집어 써 T세포의 가시권에서 벗어난다. 넷째로 이른바 방해 항체(blocking antibody)를 만들어 자신(암세포)에게 붙임으로써 면역시스템의 눈에 띄기 쉬운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서 T세포가 자신을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것은 두 천체가 서로 너무 가깝기 때문이다. 참고로 HST가 44억km 떨어진 명왕성의
표면
을 관측하는 분해능은 64km 떨어진 곳에서 야구공을 볼 수 있는 것과 같다. 샤론의 크기는 명왕성의 1/2인데, 명왕성이 2중 행성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내부의 상태나 거동을 감시하는 방법 외에 와류(eddy current)나 전자기, 염료를 이용하여
표면
상의 결함을 검출하는 기법도 있다.한 조사에 따르면 기계 파손과 관련된 총 비용 중 약 3분의 1 가량이 현재 사용 가능한 기술만 잘 활용하여도 절약될 수 있다고 하며, 3분의 1 정도는 향후 개발될 신기술에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급격한 중력수축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별의 바깥부분은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별의
표면
온도는 감소하게 되어 붉은 색을 띠는 '적색거성'의 단계로 접어든다.고속컴퓨터를 이용하여 천문학자들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별이 중심수소연소단계를 지나서 적색거성으로 진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최첨단'이 바로 거기에 있다. 자외선 천문학이란?우리 눈은 노란색에 민감하다. 그것은
표면
온도가 6천K인 태양복사가 5천5백Å에서 가장 강하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간다. 우리의 눈이 우리 '별'에 그만큼 잘 적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O형 별 주위에 사는 행성인 아가씨들(?)이라면 푸른 ... ...
놀라운 기능성 페인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도료용 합성수지와 할로겐페놀 등의 살균제를 첨가함으로써 만든다.살충도료는 물체의
표면
에 도장 건조돼 살충성 피막을 만듦으로써 해충을 박멸하거나 해충의 성장이나 번식을 억제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방충도료에는 방충효과가 좋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환경에 대한 안정성과 경제성,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초미의 관심사였던 시기이다. 그러나 60년대 미국의 화성탐사선 마리너호 등이 화성
표면
의 사진을 보내오면서 화성이 고등생물이 살았을 만한 환경은 아니라는 것이 명확해졌다. 드레이크 박사가 이 시기를 우주인 찾기의 퇴보기로 본 것은 일부에서 과학적 근거도 없이 화성인의 존재를 떠들어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n}_{e}$는 행성계 내에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 수. 생명이 살 수 있는 행성이란 우선
표면
이 단단한 지구형행성이어야 하며 별(태양)과의 거리가 적당히 떨어져 있어 생명체가 의지할 수 있는 적정한 에너지가 공급되어져야 한다. 또한 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나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가 있어 쾌적한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