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4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저 먼 곳, 원시별의 진화를 생중계로 보다
2015.04.03
심사위원들은 관측 자료를 분석해 다시 제출하라고 수차례 요구했고, 이 때문에 논문
게재
까지 1년 6개월이 걸렸다. 논문 1저자인 김정숙 연구원은 “관측 분야에서 논문 실적이 전혀 없던 박사과정 학생이 세계 천문학계를 깜짝 놀라게 할 연구 결과를 발표하다 보니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있었던 것 ... ...
수성이 달보다 어두운 이유는 뭘까요
2015.03.31
결과로 수성이 지금처럼 어둡게 됐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30일자에
게재
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수성 표면이 달보다 어두운 이유를 몰랐다. 보통 대기가 없는 행성의 표면을 어둡게 만드는 요소는 철을 함유한 광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수성 표면에 분포하는 철은 ... ...
그래핀 넣은 플라스틱 제조 레시피 나왔다
2015.03.30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6일자
게재
됐다. 그래핀과 CBT 입자를 섞은 뒤 열을 가해주면 그래핀 입자가 고르게 분산된 그래핀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강하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국제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게재
했다. 연구팀은 먼저 여러 새들을 대상으로 겉모습과 교미 행태를 구분했다. 공작처럼 수컷이 화려한 경우, 즉 성선택을 받아야 하는 종류는 주로 일부다처제식 교미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 ...
손가락 꼬는 순서만 바꿔도 통증 감소
2015.03.29
상황에서도 통증이 경감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6일자에
게재
했다. 연구진은 ‘뜨거운 석쇠 환상(Thermal Grill Illusion)’이라는 현상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는 40도와 20도로 설정된 금속선을 번갈아 배치한 뒤 여기에 손을 댔을 때 종종 타는 듯한 고통을 느끼는 ... ...
100배 싼 촉매 개발… “수소상용화 앞당겼다”
2015.03.29
국내 연구진이 미래 에너지 전달 물질로 꼽히는 수소를 값싸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수소를 생산할 때 고가의 백금을 사용할 필요가 사라져 상용화를 한층 앞당 ... 재료과학 분야의 국제 저명 학술지인 ‘나노스케일(Nanoscale)’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
됐다. ... ...
우리 아이 ADHD 원인은 임신부 때 마신 미세먼지?
2015.03.26
정신과 행동 발달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의학학술지 ‘JAMA 정신의학’ 25일자에
게재
했다. PAH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담배 연기, 가정용 난방 등 일상 환경에서도 쉽게 발생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뉴욕에 거주하는 어린이 40명을 대상으로 출산부터 ... ...
차세대 양자점 TV 성능 3배 더 UP!
2015.03.25
최원국(왼쪽), 황도경 박사.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퀀텀닷 TV’로 불리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발광효율을 3배 이상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더 적 ...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일자에
게재
됐다. ... ...
‘저주받은 하체’ 이 유전자 때문이었다
2015.03.25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게재
했다. 연구팀은 플렉신D1이 어떻게 비만체질을 결정하는지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용 물고기인 제브라피시를 통해 실험한 결과 플렉신D1이 결핍되면 복부나 내장지방이 적고, 지방세포 크기 또한 작다는 것을 ... ...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연구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 판 13일자로
게재
됐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2013년 작고한 콜로이드 및 유체역학 분야의 대가였던 고(故) 양승만 KAIST 생명화학과 교수에게 헌정했다. 새롭게 개발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형성된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