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회로 3차원으로 그리는 방법 찾아냈다
2015.03.25
연구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 판 13일자로
게재
됐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2013년 작고한 콜로이드 및 유체역학 분야의 대가였던 고(故) 양승만 KAIST 생명화학과 교수에게 헌정했다. 새롭게 개발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형성된 ... ...
악성 뇌종양 유발하는 핵심 유전자 발견
2015.03.25
자매지인 ‘세포 사멸과 분화(Cell Death and Differenciation)’ 2월 27일자에
게재
했다. 악성 뇌종양 환자의 2년 생존율은 20%에 불과해 난치성 암으로 꼽힌다. 김 교수팀은 뇌종양이 발생하고 악화되는 데 혈관의 발달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런 혈관 발달 역시 뇌암줄기세포가 원인이라는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오늘날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는 그 두께가 5~7mm 내외로 얇지만 더 얇게 만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유원종 교수팀이 만든 초박형 반도체(가운데 초록색). 세로 ... 이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4일자에
게재
됐다.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위조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25일자에
게재
했다. 인공 지문이 지폐, 제약, 고가의 귀중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돼 위·변조 행위를 근절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위조 방지 기술로는 지폐에 사용되는 홀로그램이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 ...
난치병 ‘간질’ 치료 원리 찾았다
2015.03.24
난치병인 ‘간질’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동물실험을 통해 치료법 역시 찾아내는데 성공해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연구 성과는 의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Nature Medicine)’ 24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
됐다. KAIST ... ...
발암물질에만 반응하는 초고감도 센서 개발
2015.03.23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7일자에
게재
됐다. 연구진이 개발한 휘발성유기물 측정 센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구성한 실험 장치. 오른쪽 동그라미 안에 단백질 조각을 넣은 마이크로센서가 들어가며 센서를 넣은 마이크로칩의 크기는 1cm보다 작다. - ... ...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한미 공동연구팀이 나노선에 껍질을 만들어 두께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하는 빛만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차세대 태양전지, 초소형 광 ...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나노분야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0일자에
게재
됐다. ... ...
라면 먹다 김서림, 이젠 안녕!
2015.03.20
나노돌기 때문에 초친수성이 된 유리 표면 위에는 반구형의 물방울이 맺히는 일반 유리(왼쪽)과 달리 물이 얇게 펼쳐진 물막이 형성돼 김 ... 카메라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0일자에
게재
됐다. ※ PLAY버튼을 클릭하면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 ...
열대 사바나 개발 “아이고 의미 없다”
2015.03.17
측면에서 이득이 없다고 결론 내리고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기후변화’ 16일자에
게재
했다. 국제경제기구인 월드뱅크는 2009년 6월 아프리카 기니의 사바나가 옥수수와 대두를 생산하기에 최적의 조건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사철 농작물 생산이 가능한 기후인데다 물과 햇빛도 충분하기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조길원 교수팀이 개발한 플랙서블 태양전지. -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종이처럼 여러 번 접어도 기능을 잃지 않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조길원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4일자에
게재
됐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