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뉴스
"
면역
"(으)로 총 4,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잔디'에서 당뇨병 치료 가능성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미량만으로 생체 기능을 증진하고 각종 질환을 억제시키는 물질이다. 항산화, 해독 및
면역
기능증강, 호르몬 조절 등으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 물질이 당뇨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는 물론 유럽, 미국에 특허를 등록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초파리 뇌 발달 과정을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3
연구가 속속 나오면서 평가가 달라지 고 있다. 사이언스는 “신경교세포뿐 아니라
면역
체계에 관계하는 세포와 인자들도 뇌 발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며 “현대 과학으로도 명확히 규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의 뇌가 생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 ...
여드름균만 노리는 백신개발
과학동아
l
2018.10.11
입증했다. 이번에 연구팀은 CAMP의 활성을 막는 단일클론항체(하나의 항원결정기에만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항체)를 만들었다. 이 항체를 사람의 피부세포 조각과 쥐에 주입해 염증반응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피부세포 조각과 쥐 모두에서 백신 주입 이후 염증 반응이 현저히 감소했다. ... ...
2022년까지 91조…노벨상이 인정한 '
면역
항암제' 국내서도 R&D치열
2018.10.06
그렇지 않은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시료를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신 교수 역시 “
면역
항암제와 기존 항암제를 조합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구 역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
신약-라식수술-光통신… 올해 노벨상 기초과학 경제효과 수백조원
2018.10.05
요로상피암, 림프종 등으로 치료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GBI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면역
항암제의 시장 규모는 2022년 91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일 처방약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휴미라’(물질명 아달리무맙)는 올해 화학상을 받은 ‘파지 전시’ 기술을 이용해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기술을 써서 만들어진 항체의약품인 아달리무맙(상표명 휴미라)은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블록버스터 생물의약품으로서 큰 획을 그었다.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은 그후 필자도 연구를 해온 세포표면발현(cell surface display)기술 등으로 변신하며 ‘유도진화’기술과 더불어 ... ...
올해 노벨과학상 경제효과만 수백조원…기초과학의 힘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위해 노력하고 있어 이후 관련 매출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GBI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면역
항암제의 올해 시장 규모는 20조 원. 2022년에는 91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레이저 증폭 기술’ 역시 그간 이룩한 경제적 파급을 미처 헤아리기 어렵다. 레이저로 ... ...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휴미라’는 현재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으로 유명하다. 그 외에 낭창 등의 자가
면역
질환과, 알차하이머 치매를 치료하기 위한 항체 치료제 등을 이 방식으로 개발 중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화학상 선정위원회 위원들이 3일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아놀드 교수는 1956년생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공격성이 관련돼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는데, 공격적인 그룹이 온순한 그룹보다
면역
반응이 더 강하다. 세로토닌과 글루타메이트 경로 달라 한편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 9월 18일자 온라인판에는 온순한 은여우와 사나운 은여우 각각 12마리에 대해 뇌에서 유전자 발현 패턴을 ... ...
노벨상 족집게 프리노벨상 아시아에도 있다…국내에선 호암상 인정받아
과학동아
l
2018.10.02
선정됐다. 앨리슨 교수는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CTLA-4 단백질을 발견함으로써
면역
항암 치료의 가능성을 학계에 최초로 제시했다. 국제적으로는 아직 프리 노벨상으로 인정받지 못하지만 한국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과학자들이 인정하는 호암상도 있다. 호암상은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