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푸르스름하면서 검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하지만 색 세포만으로 색깔을 내는 건 아니다. 현생 동물 중에서도 몰포나비는 파란 색소가 전혀 없지만날개 전체가 새파랗다. 그 비밀은 날개의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일정한 배열로 돋아나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가 빛을 받으면 오직 파란색 파장만 ... ...
- [수수께끼 3] 캐럴이 사랑한 수 42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캐럴은 숫자 42를 매우 좋아했다. 그래서 작품 여기저기에 42를 숨겨 놓았다. 대표적인 예가 장미를 빨간색으로 칠하느라 정 ... 이번 기회에 앨리스 시리즈를 다시 보며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수수께끼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앨리스를 즐기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수 있는 수준의 SW를 대회 현장에서 만드는 것이 해카톤의 묘미다.페이보리를 성장시킨 건 해카톤에서의 경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3년부터 인텔의 사물인터넷 해카톤 등 지난 3년 동안 7번의 해카톤 대회에 참가해 9개의 상을 받았다. 김 대표는 “제한된 시간 동안 아이디어를 구현해야 하는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먼저 게임카페 1기의 이야기부터 할게요. 7월부터 진행된 수학동아 게임카페 1기 활동이 지난 8월 15일 세 번째 수업을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체를 파묻는다고 알려졌지만, 사실 송장벌레과의 모든 곤충이 시체를 매장하는 건 아니다. 곤봉송장벌레류에 속하는 일부 송장벌레만 직접 시체를 파묻는 특기를 가졌다. 대부분의 다른 송장벌레들은 시체나 배설물에 모여들 뿐 시체를 파묻는 특기는 없다.송장벌레는 시체를 파묻는 실력이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갇혀 있던 찬 공기가 내려와 중위도에 한파가 발생한다는 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는 중위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두 곳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인정받은 것 같다. 두 곳의 온도를 잘 감시하면 1~2주 뒤 동아시아와 북미에 나타날 한파를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짓말을 하는 게 유리한 것 같다. 정 : 1부터 9인 경우와 10인 경우를 나눠서 계산하는 건 어떨까.엄 : 좋은 생각이다. 10일 경우에 상수 C를 도입해서…. (외계어, 외계어, 외계어)이 : 그것도 어렵다. 둘 다 10을 가졌을 때, 철수가 10일 때, 영희가 10일 때 등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또 한 시간. 토론을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산에서 자라는 갈대는 없지요. 다시 말해, 산에서 만나는 키큰 식물은 갈대가 아니라 무조건 억새입니다. 둘은 색깔도 완전히 다릅니다. 억새는 주로 은빛이나 흰색을 띠고 갈대는 고동색에 가깝지요. 키로도 구분할 수 있는데, 억새는 대부분 120cm 정도로 사람보다 작고 갈대는 2~3m 가량으로 껑충하게 ... ...
- 만화로 창의력 쑥쑥! 가족 사랑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말 궁금하셨죠? 헤헤~.그런데 만화를 잘 읽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가장 중요한 건 만화를 숨어서 읽지 않는 것이옵니다. 만화는 거실에서 당당하게 읽어야 한다고 하옵니다. 그리고 만화와 관련된 책을 읽어서 만화 속 지식을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사와요.그러면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물질에 의미를 담는 작업’이다. 100년 전 가우디의 건축 작품은 ‘오늘날 우리는 어떤 건축물을 짓고 있으며, 어떤 이성과 감성을 담아내고 있는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