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김재동, 이준호 이 분들도 취재해보세요. 저랑 비슷한 또래인데 전문가 수준이에요.” 건혁 학생은 어릴 때부터 파브르 곤충기를 많이 읽었다고 했다. 어린이용 파브르 곤충기는 실제와 달라서 별 도움이 안 됐는데, 김진일 교수의 완역본은 학명과 실험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연구에 ... ...
- [이달의 사물] 천일염과학동아 l2015년 10호
- 天日鹽)이란 이름이 붙은 소금, 정말 비위생적인 걸까요?천일염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907년입니다. 갯벌을 다져서 염전을 만들고 바닷물을 가둔 뒤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었죠. 김치나 젓갈, 장의 맛을 살리는 재료로 국민들의 사랑을 오랫동안 받았습니다. 그러다가 1985년, 소금 생산량을 늘리기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쇠똥구리가 버둥거리게 만든 모습을 누군가 봤으면 미쳤다고 했을 거다. 그래도 그건 낫다. 사거리에서 벌이 든 통을 들고 빙글빙글 도는 모습을 옆집 처녀가 봤다면, 아마 내게 마귀가 씌였다고 생각했을 거다. 송충이의 독성을 실험하기 위해 불쌍한 내 피부를 혹사시킨 정도는 이야깃거리도 안 ... ...
- [과학뉴스] “단위 정의, 절대상수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6~9월호) 2018년에 7가지 단위 중 4개 단위가 새롭게 정의될 예정입니다.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질량(kg), 전류(A), 온도(K), 물질량(몰) 등 네 가지 단위가 대상입니다. 특히 kg 원기를 사용했던 질량의 정의를 빨리 개선해야 했죠. 네 개 단위는 앞으로 절대상수, 즉 각각 플랑크 상수, 기본 전하, 볼츠만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짓말을 하는 게 유리한 것 같다. 정 : 1부터 9인 경우와 10인 경우를 나눠서 계산하는 건 어떨까.엄 : 좋은 생각이다. 10일 경우에 상수 C를 도입해서…. (외계어, 외계어, 외계어)이 : 그것도 어렵다. 둘 다 10을 가졌을 때, 철수가 10일 때, 영희가 10일 때 등 경우의 수가 너무 많다.(또 한 시간. 토론을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거주하던 독일인, 아담샬 신부가 서양 수학을 토대로 만들었다. 시헌력이 조선에 들어온 건 인조 26년(1648년)이었다. 그 때까지 세종이 만든 칠정산을 사용하던 조선에서는 시헌력 채택을 두고 치열한 당쟁이 벌어졌다. 시헌력을 시행하자고 주장하던 무리는 칠정산에 한계가 있어 오차가 나기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호소하는 연구자를 상담하기도 한다. 이런 노하우가 쌓여야 제보가 들어왔을 때 사건을 제대로 검증하고 처리하며 제도를 바꿔나갈 수 있다. 이 교수는 “연구윤리 업무 담당자의 인식과 열정, 전문성이 해당 대학의 연구윤리 수준을 좌우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에는 연구윤리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체를 파묻는다고 알려졌지만, 사실 송장벌레과의 모든 곤충이 시체를 매장하는 건 아니다. 곤봉송장벌레류에 속하는 일부 송장벌레만 직접 시체를 파묻는 특기를 가졌다. 대부분의 다른 송장벌레들은 시체나 배설물에 모여들 뿐 시체를 파묻는 특기는 없다.송장벌레는 시체를 파묻는 실력이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갇혀 있던 찬 공기가 내려와 중위도에 한파가 발생한다는 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는 중위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두 곳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인정받은 것 같다. 두 곳의 온도를 잘 감시하면 1~2주 뒤 동아시아와 북미에 나타날 한파를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산에서 자라는 갈대는 없지요. 다시 말해, 산에서 만나는 키큰 식물은 갈대가 아니라 무조건 억새입니다. 둘은 색깔도 완전히 다릅니다. 억새는 주로 은빛이나 흰색을 띠고 갈대는 고동색에 가깝지요. 키로도 구분할 수 있는데, 억새는 대부분 120cm 정도로 사람보다 작고 갈대는 2~3m 가량으로 껑충하게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