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양자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우선 양자점에 노출시키지 않은 세포와, 양자점에 여러 농도로 노출된 세포의 엑소좀을 추출했다. 그 뒤, 염기서열을 해독해 그 속에 들어있는 miRNA의 종류와 양을 파악했다. 그 결과 양자점을 처리한 엑소좀에서 5개의 miRNA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방법을 소개할게요. GIB 제공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 성분까지 다르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뿔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요. 사슴뿔처럼 여러 갈래로 나뉘는 뿔과 코뿔소나 소처럼 가지 없이 뾰족하게 뻗어나온 뿔이 있죠. 이 둘은 영어로도 다르게 표현돼요. 사슴뿔은 ‘Antler’라고 하며, 다른 뿔을 나타낼 땐 주로 ‘Horn’ 이라는 단어를 ... ...
- 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받게 합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선정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테러 용의자, 여러 지역을 복잡하게 경유하는 승객처럼 위험 인물일 확률이 다소 높은 사람도 포함합니다. 공항은 보안을 위해 승객들에게 불편을 감수해 달라고 부탁합니다.하지만 미국 로스 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윌리엄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뽑을 가능성이 높다.게임 랜덤박스는 대부분 ‘독립시행’이다. 독립시행이란 시행을 여러 번 할 때 앞뒤 시행 확률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동전을 100번 던져 모두 앞면이 나와도 그 다음에 뒷면이 나올 확률은 그대로 12인 것과 같다. 따라서 청동 갑옷을 세 개 뽑은 아돌이 다음에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거짓말같이 문제가 하나둘 해결됐어요.아무래도 절박하니까 더 열심히 일을 했지요. 여러 군데 문을 두드리다 보니 넉넉하진 않지만 돈이 해결됐고, 사람도 구할 수 있었어요. 지금 생각해 보니 ‘앞으로 잘 될 거야!’라는 생각이 동력이 되어 지금까지 일하고 있는 것 같아요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Input Multiple Output)’ 통신방식도 지원하고 있다. 안테나를 여러개로 늘리면 데이터를 여러 경로로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를 서로 비교해 간섭도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무선랜은 54Mbps 전후의 속도를 가진 반면, MIMO기술을 탑재한 제품은 250∼500Mbps의 속도를 낸다. 미니, . ...
-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600개 펜 상자에 사랑을 담아 전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이야기했어요. 행사에 참여한 이지민 친구의 어머님은 “아이들이 봉사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면서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다양한 생각과 체험을 할 수 있어서 정말 고맙다”고 말했답니다.펜 드림 프로젝트의 주인공을 소개합니다!정성스럽게 포장된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프로그래밍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거죠? 그래서 오규환 교수님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여러분도 오규환 교수님과 함께 플래피 버드 게임을 만들어 보세요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게임인 스도쿠와 네모네모로직, 긴 띠 모양의 종이를 접어 만든 플렉사곤 등을 다룹니다.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스도쿠’라는 이름은 외로운 숫자라는 뜻의 한자어 ‘수독(數獨)’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스도쿠의 원리는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