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놀랍게도 기관지와 길이와 굵기만 다를 뿐 뻗은 모양은 같았다. 똑같이 생긴 기관지들이 여러 번 반복해 붙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관지는 예상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철저하게 프랙탈 법칙을 따르고 있었다.황 박사는 “기관지 모양을 만들어내는 청사진에는 난류냐 층류냐 하는 구분이 없고,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뒤섞인 뼈를 구분하기 위한 다양한 훈련을 받는다. 예를 들어, 좌우측 뼈를 여러 개 놔두고 형태학적인 특징만을 이용해 각각의 쌍을 찾아내는 연습을 한다. 허벅지 뼈와 정강이 뼈처럼 서로 연결되는 뼈라면 관절 부분을 맞대보면서 같은 사람의 뼈인지 판단하는 훈련을 하기도 한다.뼈의 크기를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늘려 줄 필요가 있었다. 문제는 시간과 비용이었다. 날개를 새로 개발하려면 풍동실험을 여러 차례 반복하면서 최적의 모양을 찾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게 1년 정도 걸린다. 수차례 날개를 새로 제작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신생기업 입장에서는 만만치 않다.고민하던 이 대표는 지인의 소개를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양자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우선 양자점에 노출시키지 않은 세포와, 양자점에 여러 농도로 노출된 세포의 엑소좀을 추출했다. 그 뒤, 염기서열을 해독해 그 속에 들어있는 miRNA의 종류와 양을 파악했다. 그 결과 양자점을 처리한 엑소좀에서 5개의 miRNA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방법을 소개할게요. GIB 제공 ● 한글 자음 속 대칭네모난 종이를 반으로 접어 한쪽에 여러 색의 물감을 묻힌 뒤, 반으로 접었다 펴면 재미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접힌 선을 기준으로 양쪽은 똑같은 무늬가 나타나는데, 이것은 화가 오스카 도밍게즈가 생각해낸 미술 장식 기법 ‘데칼코마니’다. ... ...
- [과학뉴스] 눈에 보이지 않는 초소형 기계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로봇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요.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초소형 장치들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어요. 수백 볼트의 전압이나 수백 도의 온도 등 실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조건에서만 장치가 움직였거든요. 또한 움직이는 속도도 느리고 힘도 약한 탓에 일을 하기도 힘들었답니다 ...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이 배터리가 되는 것이다. 종이 배터리는 여러 번 굽히고, 심지어는 구겨도 성능이 그대로다. 유연하고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이 가능해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하다. 이상영 교수는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는 3년 안에 상업화가 가능할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제 머릿속에서만 나온 결과는 아니에요. 저보다 먼저 태어난 피타고라스, 플라톤 같은 여러 학자들이 이미 알고 있던 사실이에요.”“피타고라스! 플라톤! 고대 그리스 수학자이자 철학자 말씀이시군요!” “저는 그들이 말한 사실을 정리했을 뿐이에요. 물론 제가 논리적으로 따져 명제가 성립하는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뇌의 작동방식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번 연구를 함께한 나노전자기학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빛이 나온다. 그러나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막대처럼 긴 모양이다. 이전 가속기에서는 여러 빛이 섞여 있어 원하는 파장을 골라 쓰는데, 4세대에 서는 한 파장의 빛을 강력하게 내뿜어 좀 더 정밀하다. 약 2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해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40분의 1 수준이다.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