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부쩍 늘어난 지구형 행성 “우리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편집자주과학동아는 지난 31년 동안 한국과 세계의 과학 소식을 추적하고 기록했습니다. 당시에는 첨단이었지만, 지금 보기엔 낡았거나 갱신된 내용도 많지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실제 기사로 알아봅니다. 기사는 언제든 과학동아 디지털매거진 디라이브러리(dl.dongascience.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태아의 혈관이 견디지 못할 뿐만 아니라, 둘의 혈액이 섞여 응고될 경우 엄마와 태아 모두가 위험에 빠지게 됩니다.다만 가끔은 태아의 세포가 엄마의 몸에서, 또는 엄마의 세포가 태아에게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임신 20주 여성들의 혈액 속 DNA는 20%가 태아의 것이라고 ... ...
- 루마니아 수학마스터대회 한국 종합 1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다 잘 봐서 종합 1위를 하게 됐습니다. 기자 난이도가 높은 3번과 6번, 두 문제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네요! 김다인 3번 문제를 처음에 잘못 이해해서 헤맸어요. 그런데 풀이에 써놓은 제 아이디어가 모범 답안의 핵심 아이디어였어요. 덕분에 부분 점수를 받고 종합적으로도 좋은 성적을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우주비행사의 용기와 공포를 사실적으로 그렸다. 다만 우주비행사부터 연구원까지 모두 백인 남성이다. ‘히든 피겨스’는 ‘필사의 도전’에서 백인 남성들이 복도를 걷는 장면을 본떠서 여성 컴퓨터가 복도를 줄지어 걷는 장면을 연출했다. NASA에 있던 흑인과 여성을 숨기지 말아달라는 감독의 ... ...
- Part 2. 현실을 비추는 거울, 역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B만 갖기로 한다. 그러면 높은 확률로 10억을 가질 수 있다. 또 어떤 사람은 상자 A, B를 모두 갖기로 한다. 선택하는 시점에 상자 B의 내용물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즉, 무엇이 들어 있든 적어도 상자 A에 든 1억을 더 가질 수 있다. 둘 중 어느 하나를 정답이라 할 수 없다. 이처럼 현실에서 ... ...
- 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마방진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들었어요. 이것으로 서윤의 승리로 돌아갔어요. 그런데 뭔가 이상하지 않나요? 참가자 모두 받은 상금도 없지만, 잃은 재산도 없어요. 그때 버핏이 말했어요. #주사위 게임이 즐거웠나요? 사실 필승 주사위로 절 이긴다는 건 어렵습니다. 이길 확률이 정해져 있거든요. 제가 이런 행사를 기획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두 번째 승리를 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잎만 내놓은 듯한 고사리도, 튼튼한 너도밤나무와 하늘을 바라보는 해바라기도 모두 광합성을 하며 산답니다.광합성은 식물의 초록색을 내는 세포 기관인 ‘엽록체’에서 이루어져요. 호흡을 통해 얻은 이산화탄소와 뿌리가 빨아올린 물이 재료가 되지요. 엽록체 안의 초록색 색소인 ‘엽록소’는 ... ...
- [포커스 뉴스] 손톱만한 USB에 세상의 모든 영화를 담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두 개의 홀뮴 원자가 만드는 자기장의 영향은 철과의 거리에 따라 다른데 그 차이를 모두 신호로 확인했다”며 “여러 정보를 따로 읽고 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원자메모리칩, 양자컴퓨터 구현의 출발점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이화여대 ... ...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읽어 내서 해독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하지만 오늘날의 바이오닉 기술들도 모두 상상에서 시작됐다는 사실을 떠올린다면 50년, 아니 30년 뒤에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머릿속에 다운로드 받는 것이 당연해질지도 모른다. 기억을 칩 하나에 저장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1980년대 초, 최초의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이 B에게는 치명적이다’는 식의 관계다. 이 관계를 파악해야 모두 공존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엔 김치와 된장처럼 복합 미생물이 존재하는 음식이 유난히 많다”며 “이런 음식들을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복합 배양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기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