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분명히 여러분은 그 가능성이 적어도 0.7%보다는 높다고답하리라. 이것이 핵심이다. 만약 전세계 총인구에서 한국인의 비율이 70%라고 해도, 여러분은 A씨의 이웃이 한국인일 가능성은 70%보다 더 높다고 답할 것이다. 각 나라 사람들은 동포끼리 한 곳에 모여 사는경향이 있다. 즉, A씨가 서울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요와 차이가 컸다. 의정부경전철, 부산 4호선, 부산·김해선 세 곳의 경우 예측 수요의 약 20%에 그친다.수요예측은 신규 교통사업을 시작할지 말지 결정하는 첫 단계다. 수요예측을 할 때는 통행량, 건설비용, 정책, 환경 등 그 지역의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다. 특히 현재의 교통량을 분석하고 ... ...
- [소프트웨어] π를 부탁해!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알려지게 됐어요.7월 22일은 ‘π 근삿값의 날’이에요. π와 가장 가까운 분수가 22/7=약 3.1428571429이거든요. 이처럼 수학자들은 π를 기념하는 날을 만들어 다채로운 행사를 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 오늘 소개할 몬테카를로 방법은 π 기념일에 빼놓을 수 없는 단골손님이에요. 우선 밑면의 모양이 ...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단백질이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를 수 있는 부위가 제한되기도 한다. NgAgo는 이런 제약이 전혀 없기 때문에 크리스퍼보다 자를 수 있는 유전자의 범위가 넓다.뿐만 아니라 NgAgo는 DNA가 길잡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RNA를 사용하는 크리스퍼보다 쉽게 세포 내에 길잡이를 투입할 수 있다. DNA는 RNA보다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었다. 대신 손목뼈 말단에서 지느러미 가시로 연결되는 부위의 작은 뼈가 정상보다 약 1.5~2배 많이 생겼다. 손목뼈 형성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느러미와 손가락은 형태는 다르지만, 관여하는 세포와 제어 과정이 매우 비슷하다”며 “지느러미 가시가 줄어들고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비슷하다면 다행이지만, 82km에 달하는 파나마 운하의 경우 바다와 호수 간의 높낮이 차가 약 25m 정도다. 이 높이 차이를 극복할 비밀 병기는 ‘갑문’이다. 배가 지나갈 때마다 갑문을 열어 수위를 높이기도 하고, 낮추기도 한다.파나마 운하의 경우 대서양에서 가툰호, 미라플로레스호를 지나 ...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이고, 1GB는 1024MB(메가바이트)입니다. 보통 음악 파일 한 곡의 크기가 5MB 정도이니, 약 4000만 곡이나 되는 엄청난 용량이지요. 연구팀이 해결한 문제는 ‘불린 피타고리안 수 문제’입니다. 변수로 숫자 0 또는 1을 넣어 식의 값을 1로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문제입니다.연구팀은 1부터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은하의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은하들의 색깔은 대부분 빨간색 혹은 파란색이다. 별 ... 은하의 성과 진화 원리, 그리고 우주의 역사에 대한 인류의 이해가 한 단계 더 큰 도약을 하기를 기대해 본다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동안 광합성을 하게 한다. 하지만 결국 동화하지는 못한 채 엽록체를 분해하고 마는데, 만약 갯민숭달팽이와 같은 흡입과정이 반복되다가 우연히 동화된다면? 바로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소가 그렇게 태어났다는 것이다.그런데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소의 기원이 된 미생물이 단순히 고세균 내에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세종시에 있는 고려대 세종캠퍼스에는 전세계에 하나뿐인 학과가 있다. ‘가속기’라는 거대 장치를 개발하는 연구자 및 기술자를 길러내는 가속기과학과 ... 기관이 없었는데, 이곳에서 가속기를 배운 후배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제 바람입니다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