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화성에 흐르는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화성 구세프(Gusev) 분화구에서 약간의 침철석을 발견했다. 침철석은 지하수나 저온 열수용액(마그마가 식어서 광물들이 석출되고 남은 수용액)의 산화대에서 생성되기에, 과거 화성에 물이 흘렀음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또 바둑판에 놓인 돌의 위치를 좌표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약 30초라는 짧은 시간 내에 이길 확률이 높은 다음 수를 계산할 수 있답니다.알파고 이전에도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이용해 인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예가 있어요. 2011년 TV 퀴즈쇼에 출연해 우승을 차지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장 중요한 부품은 지붕 위에 달린 센서 ‘라이더’예요. 라이더 안에는 약 30m 전방까지 볼 수 있는 3D 카메라,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장비, 위치를 파악하는 GPS, 구글맵 등 다양한 장비가 들어 있어요.라이더는 1초에 160만 번의 속도로 주변의 정보를 읽어내 차량이 위험하지 않도록 조절해요. 앞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관성질량의 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등가원리 위반이 발견된다면?만약 마이크로스코프에서 등가원리 위반이 발견되면 어떻게 될까. 최기영 박사는 “일반상대성이론이 보정돼야 할 것”이라며 “그때가 되면 일반상대성이론도 만유인력 법칙처럼 특정 범위에서만 들어맞는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례는 바로 미성년자의 장기 기증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뤄지는 생존자 간 이식 중 약 8%는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의 기증이다(2010~2013년).현재 장기이식법에는 미성년자 기증을 친족 사이의 이식으로만 한정하고 있고, 16세 이상 미성년자의 장기와, 16세 미만 미성년자의 골수(골수이식은 ... ...
- [쇼킹 사이언스] 레트바 호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때 베타 카로틴은 활성 산소의 짝이 없는 전자를 붙잡아 활성 산소의 산화력을 약하게 만든답니다. 자기 몸을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전략인 셈이죠.결국 우린 작은 생물이 자신을 지키기 위해 마련한 똑똑한 전략 덕분에 예쁜 분홍빛의 레트바 호수를 볼 수 있게 된 거예요. 레트바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동물의 신경을 마비시키고 심장을 멈추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요. 하지만 잘 가공하면 약으로도 쓸 수 있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두꺼비 독을 이용해 심장의 기능을 보완하는 ‘강심제’를 만들어 왔어요.두꺼비는 다른 양서류보다 빨리 짝짓기를 해요. 그래서 아직 차가운 ...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리고 언어를 연구할 때와 마찬가지로 지프의 법칙에 들어맞는지 그래프를 그렸지요. 만약 언어라면 그래프는 기울기가 -1인 선으로 나타납니다. 돌고래의 휘파람 소리는 기울기가 -0.95로 나타났어요. 사람의 언어처럼 문법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뜻이지요. 연구팀은 원숭이가 내는 소리도 ...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만든다. 이 과정에 약 일주일이 소요되고, 1인당 200g씩 100명의 대변을 모으면 약 18명이 온수 샤워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대변을 제공한 사람에게는 ‘꿀’이라는 경제적 보상이 주어진다. 대변 200g당 10꿀을 주는데, 3000원의 가치를 지닌다. 교내 커피숍 등에서 3000원짜리 음료를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가시광선이 동시에 강하게 측정된다는 사실도 미스터리다. 별 질량 블랙홀은 가시광선이 약해지면서 전파가 나온다. 가시광선을 내는 강착 원반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전파를 주로 내뿜는 제트의 활동이 세지는 진화를 겪기 때문이다. 전파와 가시광선이 동시에 강한 AGN은 기존의 별 질량 블랙홀의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