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 클리닉] 유레카! 부력의 원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물속에 물체를 넣으면 물체의 부피만큼 물이 넘친다. 금이 은보다 무거우므로 만약 같은 무게라면 금덩이보다 은덩이를 물에 넣었을 때 물이 더 많이 넘치게 된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그리고 아르키메데스가 알게 된 이 사실은 바로 부력의 원리다.부력의 원리를 이용하면 합금에 포함된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찾아낸 행성 후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1284개가 행성의 조건을 충족하며, 그 가운데 약 550개는 크기를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 지구와 비슷한 암석형 행성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550개 중 9개는 별과의 거리가 너무 가깝거나 멀지 않아서 행성의 온도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수준일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음전하가 섞여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런 전기적 분포 때문에 NS1에 작용하는 백신이나 약물이 지카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추측했다.X선 결정법은 널리 쓰이는 방법이지만 몇 가지 단점이 있다. 특히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것이 어려운 일로 꼽히는데, 최근에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함께 불안함을 동반한다. 감시 및 도·감청의 위험은 더욱 커질 것이고 제로데이 취약점 거래는 앞으로 더 활발해질 것이다. 해킹팀의 내부정보 유출로 열린 판도라의 상자에 대해 이제는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고민을 시작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RI 실험장치팀장)은 “이론적으로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동위원소(핵종)의 종류는 약 1만 개인데(현재까지 자연계와 실험실에서 발견된 것 포함), 라온은 그 중 80% 이상을 만들 수 있다”며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중이온가속기가 새로운 원자핵을 만들고, 원자핵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때에는 이 같은 심리적 결합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MISSION 3미약한 신호로도 의도 파악하기로봇을 움직이려면 원하는 모터에 전기를 흘려주면 된다. 인체에 이식한 로봇 팔다리를 움직이려면 뇌의 전기 신호를 흘려주면 될까? 쉽지 않은 문제다. 인체는 수천, 수만 개의 신경과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수 있는 생물이 되고 말 거예요.지의류의 약점은 하나 더 있어요. 바로 대기오염에 매우 약하다는 거예요. 지의류는 뿌리가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몸 전체로 수분과 가스를 교환해요. 이 때문에 대기의 오염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지요. 특히 조류는 대기가 더러워지면 광합성을 하지 못해 결국 ... ...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약 58.3m3가 됩니다. 풍선은 구형이니 부피는 3/4πr3이 되고, 이 값이 58.3이 되는 반지름r은 약 2.4m입니다. 지름은 4.8m 정도가 되겠네요.드라마에 나온 풍선보다 지름이 2.6배, 부피가 20배 이상 크지만 여기까지는 그래도 가능하다고 봅시다. 가장 비현실적인 건 가격입니다. 최근 5년간 헬륨 부족 현상으로 .. ...
- [수학뉴스] 주토피아를 만든 소프트웨어의 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세상을 그린 영화 ‘주토피아’에는 작고 귀여운 햄스터부터 거대한 코뿔소까지 약 80만 마리의 포유동물이 나옵니다. 자세히 보면 햄스터는 빳빳하고 짧은 털, 양은 만지면 푹신푹신할 것 같은 털이 온 몸에 나 있습니다. 설마 동물이 직접 연기하게 한 건 아니겠지요?디즈니 제작진은 동물을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얇게 퍼지면서 가장자리에서 수분이 많이 날아가 타버렸어요.연구팀은 베이커 비율이 약 175일 때 팬케이크가 가장 맛있게 구워진다는 것을 실험으로 알아냈어요. 반죽이 적당히 걸쭉하기 때문에 수분이 잘 빠져나가 구멍도 작게 뚫리고, 가장자리도 타지 않고 바삭하게 구워졌어요.팬케이크 ... ...
이전3503513523533543553563573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