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SNP)은 보통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어떤 하플로그룹이 퇴행성뇌질환과 암 등에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짧은 서열 덕분에 분석 비용이 적어 부담 없이 검사할 수 있다.명절날 눈이 반쯤은 커진 채로 족보를 뒤져 자신의 이름을 찾던 심정으로(절대 기자의 이야기는 아니다!), 자신의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체중을 버티기엔 적합하지 않다. 더구나 다른 손가락에 비해 터무니없이 가늘고 약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부러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냥할 때가 아니면 보통 가운데 손가락을 반대방향으로 편 채로 이동한다.재미있는 점은 자세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도 바꾼다는 점이다. 가운데 손가락을 열화상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움직이는지 알아낸 것이다. 그 결과 플래닛 나인이 태양에 가깝게는 약 320억km, 멀게는 약 1600억km 떨어진 타원궤도로 공전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➍ 플래닛 나인은 얼음행성한편 스위스 베른대에서 행성의 탄생과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크리스토프 모르다시니 박사는 플래닛 나인이 천왕성이나 ...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리랑 5호 위성에 선명하게 포착됐다. 두께가 250~270m, 면적이 100km2에 달하는 빙산은 약 한 달간 총 457km(하루 평균 2.1km)를 이동했다(A 기준). 빙붕이 쪼개진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절단장애인에게 적용됐다. 에이드리언에게 적용된 무용가 전용 의족의 가격은 25만 달러(약 2억9000만 원)로 알려졌다. 전자 피부청각, 후각, 촉각을 감지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돼 있다. 고현협 UNIST 에너지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촉각뿐만 아니라 소리도 인식하는 전자피부를 최근 개발했다.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니었다면? 만약 이 기억을 가진 추억충이 은성 자신에게 감염된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윤정이 새로운 추가 기억을 담은 추억충에게 다시 감염이 된다면 이번엔 어떨게 될까? 첫 감염자가 추억충에 묻어 온 다른 기억때문에 은성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깨달았을 수도 있었을까?윤정은 소파에 몸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미친 화학자의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알려져 있지요. ‘염도란 물에 용해돼 있는 소금의 양을 말해요. 보통 바닷물의 염도는 약 3.5%인데, 사해는 염도가 3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어요. 실제로 지중해 바닷물 1리터에는 소금이 37g 들어 있는데, 사해에는 275g이나 들어 있지요. 이처럼 사해는 일반 바닷물에 비해 7배 이상 염도가 높아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날씨, 주말 등이에요. 말복 같은 치킨집에는 축복인 날도 빼먹을 수는 없고요. 그렇게 약 6개월 정도 데이터를 직접 수집해 분석해봤습니다. 그 결과 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어요. 재료를 적당한 양만 사니 가게 매출도 늘었지요.최근에는 주변 치킨집 사장님들과 데이터를 공유해 동네 치킨 배달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확률이 2%밖에 안 되니까 대립가설을 지지하는 확률이 98%나 된다고 생각합니다. 즉 신약이 치료에 효과가 있을 확률이 98%라고 여기지요.하지만 이는 틀린 해석입니다. P-value는 귀무가설이 옳다는 가정 아래 구한 값으로, 단지 실험데이터를 대표하는 통계량이 귀무가설과 매우 다르다는 것뿐이에요.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에 참여한 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신약 재창출 방식은 이미 있는 약품 자원을 활용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동물실험에서 자유롭다”며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를 필로폰 중독 청소년의 뇌손상 치료에 적용해 보는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이처럼 최근 ... ...
이전3483493503513523533543553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