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식물학자 미하일 차일라캰은 나팔꽃을 이용해 실험을 했다. 나팔꽃을 깜깜한 곳에 약 10시간 동안 뒀다가 밝은 곳에 내놓으니 꽃눈에서 꽃이 피었다. 그런데 밝은 곳에 내놓기 전에 잎을 모두 따버리면 꽃이 피지 않았다. 그는 햇볕을 받으면 잎에서 개화호르몬이 만들어져 줄기를 타고 끝부분으로 가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보폭보다 크게 또는 작게 걸었을 겁니다. 걸음 수를 세다가 놓친 친구도 있을 겁니다. 만약 충분히 먼 거리를 걸었다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걷게 돼 오차가 줄었을 겁니다. 걸음 수를 재는 만보기를 들고 걷는다면 걸음 수를 빼놓지 않고 셀 수 있으니 더 정확하게 거리를 잴 수 있을 겁니다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사육사 등이 참여했다.17분 분량의 이번 영화는 작년 11월 11일부터 서울대공원에서 약 한 달간 진행된 실험과정을 담았다. 실험에 참가한 오랑우탄들은 거울을 보면서 평소 눈에 잘 띄지 않는 항문을 관찰하고 머리를 매만지는 등 다양한 행동을 보인다. 비닐더미와 같은 물체로 몸을 가꾸는 모습도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온 그대’를 재밌게 봤거든요. 기자님이 저희 사진이 실린 잡지를 보내주겠다고 약속했는데, 어떻게 나올지 걱정입니다. 사진을 찍는 게 아직 익숙지 않거든요. 그럼 프놈펜에서 과학동아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보냈다. 올해 태어난 5마리는 공군과 경찰청, 관세청에 추가로 보낼 예정이다.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 ...
- Part 3. 동물실험의 문제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태어난 이유가 이 약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결국 판매가 금지되었답니다.이후 제약사는 개와 고양이, 닭, 햄스터 등을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다시 해 봤어요. 하지만 이번에도 동물에게는 부작용이 일어나지 않았지요. 이 사건을 계기로 많은 전문가들은 “동물과 인간의 유전 구조가 유사할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멸종 위기 등급에서 ‘위기’ 상태에 놓여 있어요. 사람들이 이 원숭이를 약으로 쓴다고 무차별적으로 사냥해 많은 수가 죽임을 당했기 때문이에요.붉은꼬리원숭이는 케냐와 앙골라, 우간다 지역에 살아요. 주로 열대 우림 지역에서 많이 살지만 늪지대나 강가, 다른 숲 지역에서도 종종 발견되곤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 어떤 동물도 무한정 자식만 낳진 않으니까 말이다. 일례로 괭이갈매기는 한 둥지당 약 2알, 쥐는 한 배에 4~7마리의 자식들을 낳는다. 문제는 동물이 출생률을 조절하는지가 아니라, 왜 출생률을 조절하는가이다.윈-에드워즈는 동물들이 집단 전체의 이득을 위해 일부러 자식을 적게 낳는 이타적 ... ...
- [Tech & Fun] 의자 없앤 사무실 잘못하면 건강 망친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건강에 나쁘다’는 주장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럼 서서 일하는 게 좋겠구나”라고 비약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는 연구팀의 의도를 곡해한 결과다.직장과 가정에서 의자나 침대, 소파를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2000년대 이후 하루 중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이에 따라 건강에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러나 이번에는 중력파를 사진으로 찍듯 직접 포착했기 때문에, 중력파가 아닐 확률은 약 500만 분의 1로 아주 낮답니다.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루이지애나주립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이 발견으로 ‘중력파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 ...
이전354355356357358359360361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