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야"(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는 미래의 대한민국 우주인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본격적으로 예비 우주인들의 훈련 내용을 소개할게. 우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과학 지식이 필요해. 그 중에서도 우주로 날아갈 때 타는 로켓에 대한 지식은 정말 중요하지.로켓이 하늘을 날기 위해서는 강력한 엔진이 필요해. 그리고 엔진에서 내뿜는 불길이 동체 안으로 들어오지 ...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10년 06호
- PD가 되려면 시험을 봐야 하니까요. 기본적인 공부를 충실히 하면서, 좋아하고 관심 있는 분야를 스스로 탐구하려는 자세가 있으면 좋은 결과가 나올 거예요.”PD님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어느덧 시간이 많이 지나갔어요. PD님께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친구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부탁드렸어요 ... ...
- 은방울꽃 향기, 남자가 더 잘 맡는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부르지오날(bourgeonal)에 대한 냄새 역치 실험을 통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후각과 미각 분야 저널인 ‘케미컬 센시스’ 6월호에 발표했다. 냄새 역치란 냄새를 못 맡다가 맡게 될 때 냄새분자의 농도인데, 역치가 낮을수록 그 냄새에 민감하다는 뜻이다. 남녀 각각 25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번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이 발전하면 친환경 바이오 연료와 공해 제거, 제약 분야에서 쓰이는 맞춤형 물질을 실험실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된다.미국 크레이그 벤터연구소 크레이그 벤터 박사팀은 ‘M. 마이코이즈(M. mycoides )’라는 박테리아의 게놈과 동일한 인공 게놈을 만든 뒤 ‘M. ...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BT를 레드, 그린, 화이트의 세 가지 색상에 빗대어 쉽게 설명한다. 레드 BT는 의료, 의약 분야와, 그린 BT는 식품, 농업과, 화이트 BT는 친환경 에너지 소재와 관련돼 있다는 것.“중학교 생물 시간에 DNA를 배우고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어요. 고등학교 생물반에 들어가서 바이러스에 대해 배우면서 ...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하는 말이 있는데, 생명정보학이 개인게놈 시대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중국과 같은 게놈 분야 선진국은 국가적으로 이런 생명정보학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알고 지원해왔다. 그 결과 베이징게놈연구소(BGI)에만 400명의 생명정보학 연구자가 일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생명정보학 연구자보다 ...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있다. 역학, 부인과 질환을 비롯해 암 질환, 심혈관 질환, 자가 면역 같이 여러 질병 연구 분야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이 교수는 “초기에는 선천성 면역에 단순히 병균을 잡아먹는 작용만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 수용체를 통해 면역 자체를 좀 더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을 ... ...
-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효소의 이용 가능성은 무한하다. 특히 범지구적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친환경적 공정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공정이다.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졸업 후 필자가 ... ...
- 4곳으로 늘어난 영재고 전형 분석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영재성과 기초 사고력을 살펴본다. 3단계 전형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로 수학·과학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종합 사고력을 측정한다. 4단계는 2박 3일간 과학 캠프를 실시해, 과제수행능력과 과학 탐구 태도,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경기과학고, 창의 영재성 캠프 포함 4단계 전형 ...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나온 아라미드와 케블라 섬유는 옷을 넘어 항공기와 장갑차, 방탄복의 재료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똑똑해야 뜬다! 스마트 재료선조님들의 공로는 충분히 인정합니다. 하지만 미래를 이끌어갈 재료라면 철, 나일론처럼 쓰이기만 하는 데서 나아가 지능까지 갖춰야 하지 않겠어요? 그래서 ... ...
이전3443453463473483493503513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