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불가능하다. 그런데 여기 평범한 안테나 속에서 열정과 끈기로 새로운 학문의 씨앗을 발견한 사람이 있다. 칼 구스 잰스키가 통신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대학을 막 졸업할 무렵의 일이었다. 당시 미국 오클라호마대 학장이었던 아버지는 아들에게 발전가능성이 큰 통신 분야를 소개하며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품입니다. 훨씬 복잡한 뉴턴의 유율법은 역사의 기록으로만 남았습니다.미분과 적분의 발견은 수학은 물론이고 인류문명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움직이고 변화하는 현상을 어려워했습니다. 수학자들도 멈춰 있는 대상만을 연구했죠. 하지만 우주의 거의 모든 것은 움직이고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있다는 추측도 적혀 있다. 허블이 이뤘다고 알려진 업적 중 상당수를 이미 2년 전에 발견한 셈이다.아인슈타인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1927년 벨기에 솔베이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했다가 르메트르의 강연을 들었기 때문이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계산은 옳지만 물리학은 형편없다”는 혹독한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봄이 되면 애벌레는 벌레집을 뚫고 나온답니다.또 땅에 떨어져 있는 구멍 뚫린 도토리도 발견했어요. 이 속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요?“또…, 똥이 가득하다구요?”기자단 친구들은 도토리 안에 도토리바구미 애벌레의 똥이 가득하다는 설명에 깜짝 놀랐어요. 도토리바구미는 9월쯤 도토리 안에 ... ...
- [수학뉴스] 나 그렇게 뚱뚱한 공룡 아니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룡은 실제보다 훨씬 무겁다고 소문이 났었습니다. 지난해 아르헨티나에서 뼈 화석이 발견된 드레드노투스입니다. 이 공룡은 목이 기다란 초식공룡으로, 지금까지 알아낸 육상공룡 중 가장 무겁다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이 몸무게가 부풀려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영국 생물학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당시 심하게 녹슬어 있었고, 목적과 기능을 쉽게 파악할 수 없었다. 그러다 2006년 11월, 발견한 지 105년 만에 영국의 천문학자 마이크 에드먼즈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그 기능과 사용법을 확인했다. 안티키테라 기계장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컴퓨터로 불리며, 과거에 우주의 흐름과 별의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된다. 16세기 영국의 수학자 토마스 베이즈가 발표한 ‘베이즈 이론’은 새로운 사실이 발견됐을 때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려준다. 이 이론은 1950년대부터 의사가 질병을 진단하는 데 쓰였다. 예를 들어 전체 인구의 5%가 갑상선 질환을 앓고, 전체 인구의 10%는 불면증이라고 ... ...
- [생활] 공간을 꿰뚫어 보는 눈, 공간지도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교수는 “공간 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엄청난 부가가치를 지닌 유용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지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연구조교수는 “공간지도는 실제 세계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이라며, “지질현상이나 건설 환경을 예리하게 보는 관찰력과 공간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훑어보세요. 가장 먼저 기둥없이 튀어나온 벽면이 그대로 지붕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 분명 기둥이 없는데도 건물이 안정감있고 튼튼해 보여요. 어떻게 가능할까요?비밀은 건물 외벽 뒤에 숨어 있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와 ‘메가트러스 공법’에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물론 신약 개발까지는 최소 10년 이상이 걸리겠지만, 치료제로 쓰일 만한 물질을 발견했다는 것만으로도 큰 희망이죠.” 임 교수는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대한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