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3년 앙골라에서
발견
된 모사사우루스의 뱃속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모사사우루스 화석이
발견
돼 서로가 서로를 즐겨 먹었음이 드러났다.동족까지도 잡아먹는 무자비한 포식자 모사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의 바다를 호령하며 왕처럼 살았다. 하지만 횡포는 6600만 년 전, 공룡시대의 종말과 함께 막을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는 추측도 적혀 있다. 허블이 이뤘다고 알려진 업적 중 상당수를 이미 2년 전에
발견
한 셈이다.아인슈타인은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1927년 벨기에 솔베이에서 열린 학술회의에 참석했다가 르메트르의 강연을 들었기 때문이다. 당시 아인슈타인은 “계산은 옳지만 물리학은 형편없다”는 혹독한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밖에 새겨진 정보가 구체적으로 알려지고, 그것이 생명활동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이
발견
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에 물꼬가 트였다. 이후의 성과는 눈부시다. DNA 메틸화, 히스톤 꼬리 단백질이 밝혀졌고 질병치료에도 활용 중이다.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옥신과 시토키닌을 배합해 세포의 전형성능을 최초로 유도했다. 식물에서 전형성능이
발견
된 이후 식물학자들은 메커니즘을 연구하기보다는 이것을 활용하는 데 집중했다. 예를 들어 난초는 정상적인 생식을 통해서는 일 년에 씨앗 하나 얻기 힘들다. 그러나 식물의 전형성능을 이용해 대량으로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종류가 또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바꾸는 과정을
발견
했다. Tfh세포는 기억면역을 책임지는 B세포의 분화를 돕는 면역세포로 지금까지 정확한 발생 경로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도 교수는 논문 출판을 위해 병상에서도 연구를 지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편 류 ... ...
삼시세끼 맛있는 쌀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중국 과학자들이 쌀의 식감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중국 국립쌀연구소의 왕 위에싱 연구팀은 쌀의 맛을 텁텁하지 않게 하는 유전자 ‘GL7’을 타이펑A라는 품종에서 찾아냈다고 밝혔다. 텁텁한 쌀은 밥맛을 해칠 뿐 아니라 잘 부서져 작물가치가 떨어진다.GL7 유전자의 특이한 점은 다른 품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견
했다고 보고해 화제가 됐지만 3년 뒤 착오로 밝혀졌다. CERN 연구진은 이번
발견
이 10시그마의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이는 검출된 데이터가 펜타쿼크가 아닐 가능성이 1022 분의 1이라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7월 14일자에 실렸다 ... ...
‘키스하는 수병과 간호사’ 오후 5시 51분에 찍혔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람만 10명이 넘었던 것. 그런데 최근 실제 주인공을 가려낼 수 있는 과학적 힌트가
발견
됐다.미국 텍사스주립대와 아이오와주립대 연구팀은 사진이 찍힌 시간이 오후 5시 51분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연구팀은 뉴욕 마천루들의 그림자에서 힌트를 얻었다. 먼저 1940년대 미국 뉴욕주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DNA가 정말 필요 없는 것이라면 굳이 전사를 할 필요가 없다. 현재는 간섭 RNA(siRNA) 등이
발견
되면서 RNA가 DNA와 단백질의 중간자 역할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여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후성유전학자들은 염기 서열 길이에 따라 비암호화 RNA를 두 가지로 나눈다. 우선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장 화려했던 시절의 청자라 많은 학자들이 아쉬워했71다. 이처럼 일부가 소실된 유물이
발견
되면, 사라진 파편을 복원하는 건 연구사의 몫이다. 석고로 비어있는 부분을 만든 뒤 기존 유물과 유사한 색으로 칠하는 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정용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문화재를 ... ...
이전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