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드는 회절 패턴으로 원자 구조를 재구성하는 브래그 법칙과 푸리에 변환이 있었기에 발견될 수 있었다. 멘델의 완두콩은 식물 개체들의 수학적 패턴을 활용한 결과였다. 식물의 유전을 깨닫는 과정에서 수학의 조합론과 확률론이 더해졌다.수학 모형은 이처럼 복잡한 생물의 실제 세계에 대해 ...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물론 신약 개발까지는 최소 10년 이상이 걸리겠지만, 치료제로 쓰일 만한 물질을 발견했다는 것만으로도 큰 희망이죠.” 임 교수는 이보다 알츠하이머에 대한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 ...
- 바지락 VS 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통통하고 맛이 좋지요.육식성 조개인 큰구슬우렁이는 바지락을 좋아해요. 바닷가에서 발견되는 구멍이 뚫린 조개껍데기가 바로 큰구슬우렁이에게 잡아먹힌 바지락의 껍데기랍니다.재첩바지락과 비슷하게 생긴 이 조개는 재첩과에 속하는 ‘재첩’이다. 다 자라도 길이가 2cm 내외로 다른 조개에 ...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 없다. 대신 확률의 도움을 받는다. 수십억개의 문서를 바탕으로 특정 단어 나열이 발견되는 확률을 계산한 다음, 우연히 같을 확률이 높은 두 문장은 표절로 판단하지 않는다.표절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기준은?표절 검사가 얼마나 정확한지는 재현율과 정확율로 판단한다. 정확율 = $\frac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작품입니다. 훨씬 복잡한 뉴턴의 유율법은 역사의 기록으로만 남았습니다.미분과 적분의 발견은 수학은 물론이고 인류문명의 방향을 바꿔놓았습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움직이고 변화하는 현상을 어려워했습니다. 수학자들도 멈춰 있는 대상만을 연구했죠. 하지만 우주의 거의 모든 것은 움직이고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긴 쪽 나선을 관찰해 보면 시작점과 끝점이 하나의 세로선 위에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어요.다시 말해 하나의 긴 나선은 파인애플을 거의 정확히 한 바퀴 돌고 있다는 것이지요. 만약 파인애플의 몸통을 원기둥으로 생각한다면 옆면을 펼친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하나의 긴 쪽 나선이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따라 항상 일정한 패턴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기도 했다. 만약 이들의 진짜 기능이 발견된다면 후성유전학 언어는 새로운 격변기를 맞게 될 것이다.유전체의 책갈피, 히스톤 변형메틸화는 세포를 넘어서 전달될 정도로 강력한 표식이지만 그 범위가 좁다. 유전정보가 아주 두꺼운 책이라면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대신 식물에서는 RNA가 정자와 난자를 후성유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발견됐다. 예컨대 부모세대에서 어떤 특별한 경험을 하면 정자와 난자 주변에서 생식세포의 형성을 돕는 세포들의 RNA 조성이 바뀐다. 그중 크기가 작은 간섭RNA는 바로 옆의 생식세포로 넘어가 DNA의 발현을 조절한다.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왜행성으로 퇴출된 명왕성의 모습을 보면서 환호하고 있다. 탐사선에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클라이드 톰보의 유해 일부가 실려 있다. 그가 직접 이 모습을 봤다면, 과연 뭐라고 했을까.이제 뉴호라이즌 호의 임무는 태양계 외곽의 ‘카이퍼벨트’ 탐사다. 카이퍼벨트는 해왕성 바깥에 해당되는,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차이는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하다. 특히 분단된 이후에 발전한 분야의 새로운 현상, 새로 발견된 생물의 이름은 판이하게 다르다. 예를 들면, 곤충을 분류하는 402개 과(科) 중에서 316개 과의 이름이 다를 정도다. 상대방이 무엇을 말하는지, 어떤 말을 하는지 모를 뿐 아니라 대화가 더 이상 진전될 수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