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분야는 이식용 냉동 장기다. 신장, 폐, 심장 등의 고형 장기가 체외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4~8시간 정도다. 이식을 받아야 할 환자들이 있어도 적시에 이식하지 못해 버려지는 장기만 60%에 이른다. 휴먼하이테크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김시윤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연구교수는 “3년 내 이식용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마커 이용 분자육종에 주력유전자를 활용한 ‘슈퍼 가축’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장 농업연구관은 “유전 질환은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했는지에 따라 발병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지만, 바이러스성 질환은 예측이 어렵다”며 “바이러스 저항 유전자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상자 안에 고양이가 있다. 고양이와 함께 독약이 든 병과 방사성물질을 넣어 둔다. 시간이 지나 방사성물질이 붕괴해 병이 깨지면 고양이는 독에 중독 돼 죽는다. 방사성물질이 그대로 있으면 고양이는 살아남는다. 하지만 상자 속을 알 수 없으므로 확률적으로 고양이는 살아 있기도 하고 죽기도 ... ...
-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학생들에게 너무 무리한 요구일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전 입학부장은 “2단계는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얼마나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지, 진학해서 얼마나 잘 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평가할 뿐”이라며 “대전과학고에 진학한 뒤 공부하고 성장하면서 융합과 창의성의 ... ...
- 논리적 사고력, 어떻게 키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DNA라는 물질에 의해 생명의 연속을 이룹니다. (다)의 x와 y는 공간이고 t는 시간입니다. 시간을 매개로 공간에 연속성이 생깁니다. 그러므로 (가), (나), (다)의 공통은 매개체에 의한 연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가 될 것이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단순히 지식을 알기만 한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성장률을 조심스럽게 측정해, 결정의 성장 이론과 비교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눈결정의 비밀을 조금씩 이해하게 되면 희열을 느끼지요. 느리더라도 꾸준히 눈결정의 비밀을 파헤칠 생각입니다. # 이제 곧 겨울이 끝납니다. 눈결정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많이 아쉬워할 것 ... ...
- Part 3. 빙하를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볼 수 없는 물에 떠다니는 얼음까지 파악할 수 있어요. 항공기가 한번 뜨면 8~12시간 정도 빙하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중력계: 중력을 측정하는 장치.●자력계: 자기장을 측정하는 기기. 과학자들은 아이스브리지 임무를 통해 남극과 북극의 빙하를 3차원 지도로 그려 분석할 수 있게 되었어요.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생하기 일주일 혹은 한 달 전에 예측하는 것은 우리의 능력 밖의 일이다. 오직 긴 시간 범위에서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만 가능하다. 예컨대 미국 지질연구소(USGS)는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30년 내에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약 76%가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Nevertheless, people have been trying to fin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모아 만든 마커(굵기 약 0.7mm), 그리고 830분간 모아 만든 200mL 대용량 잉크도 있다. 즉, 19시간 40분 동안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모으면 에어잉크 한 세트를 만들 수 있다. 샤르마 씨는 “잉크 150L를 만들면 공기 200억L가 깨끗해지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그래비키 랩스는 옷이나 신발에 사용할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맞춰 질문하는 ‘잠재력 면접’이다. 면접관 2명이 학생 1명을 평가하며 면접에 소요되는 시간은 총 20여 분 이다. 사고력 면접 문제는 수학이나 과학적 지식을 묻지 않는다. 말 그대로 과학적 사고력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어떤 실험에 대한 상황과 결과를 제시한 뒤 학생에게 왜 이런 실험을 한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