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간"(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냥[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정상 작동을 방해해 혈류 이상을 야기할 수 있다. 여기에 표면장력은 낮추고, 일정 시간 뒤 증발돼 사라지는 알코올을 대신 사용하면 어떨까. 간단한 아이디어지만 누가 알겠는가. 한 잔의 와인에 담긴 과학이 환자들의 오랜 고통을 덜어주게 될지 모른다. 김형수_hshk@kaist.ac.kr네덜란드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맞춰 질문하는 ‘잠재력 면접’이다. 면접관 2명이 학생 1명을 평가하며 면접에 소요되는 시간은 총 20여 분 이다. 사고력 면접 문제는 수학이나 과학적 지식을 묻지 않는다. 말 그대로 과학적 사고력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어떤 실험에 대한 상황과 결과를 제시한 뒤 학생에게 왜 이런 실험을 한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신호를 세계에 전파해 당사국들이 8년 동안 우물쭈물 시간을 끈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탄소 3500억t이 추가로 배출되고 기온이 0.25도 상승하면서 2도 목표는 물 건너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탄소 포집, 저장과 같은 청정에너지 기술을 개발하는 데 뜸을 들여도 목표 ... ...
- 함께해서 즐거운 수학, 팀 매스 챔피언십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즐겁게 배워야 재밌다 대회에 참가한 학생 대부분은 힘을 합쳐 문제를 푼다는 점, 시간이 넉넉하다는 점, 그리고 창의적인 문제와 독특한 경기 방식을 대회의 장점으로 꼽았다. 용인시 상현고등학교 1학년 이채은양은 “선배들과 이야기하며 문제를 푸는 게 재밌는 경험이었다”며 “문제집에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는지 검사하고 혈액검사, 심전도, 자기공명영상(MRI), 뇌파 검사 등을 시행한다. 오랜 시간 다양한 검사를 받게 하는 이유는 우울증의 증상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잠을 제대로 못 자고 입맛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만, 이와 정반대의 증상을 보이는 우울증 환자도 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의 나이인 138억 년을 1년으로 계산해 본 달력이에요. 이 달력에서 한 달은 실제시간으로 약 10억 년, 하루는 약 4000만 년 정도지요. 이 우주 달력에서는 1월 1일이 되는 순간 빅뱅이 일어나요. 우리가 속해 있는 은하는 5월이 되어서야 만들어지지요. 태양은 8월 31일, 지구는 9월 14일에 탄생해요.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털 어떻게 생길까?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중학교 생물시간에 배운 ‘멘델의 유전법칙’을 기억할 겁니다. 멘델은 녹색과 황색 완두콩을 서로 교배시키면 1대에는 모두 황색 콩만 생기고, 이것들끼리 다시 교배시키면 2대에는 황색 콩과 녹색 콩이 3대 1의 비율로 나타난다는 것을 실험으로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지능력을 담당하는 대뇌 피질의 두께가 감소하는 속도가 줄었다. 어느 덧 퇴근시간. 피곤함이 몰려온 권 씨는 자율주행차에 탄 귀갓길에 잠깐 잠을 청했다. 집에 들어가자마자 시은이와 놀아준 뒤 TV를 켰다. 흘러나오는 뉴스에 권 씨는 내일도 편집장에게 혼날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양이다. 한 번 우주선 발사에 200억~300억 원의 비용이 든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적으로나 시간적으로나 불가능한 시나리오다. 무엇보다 현재 가용중인 우주왕복선도 없다.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IT융합기술팀장은 “ISS가 고장 나기 전에 지구 대기권으로 본격 진입하는 시점과 장소를 미리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