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시각장애아동용 교구를 만들고 있는 문명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계산과학연구센터장은 “재료의 유해성이나 프린팅 속도 등을 고려했을 때 상용 프린터 가운데에서는 아직 다른 대안이 없다”며 “인체에 해가 없는 수계 물질로 표면을 별도 코팅하는 게 ... ...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광유전학은 최근 의학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정신질환 치료법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기 때문이다.20세기에 눈부신 발전을 이룩한 현대 의학은 그동안 난치병으로 여겨지던 수많은 질병을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한때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던 무시무시한 인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용되기 시작한 월드와이드웹은 일반인들에 게도 급속도로 확산됐다. 장상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순수물리이론연구단 연구위원은 “지금도 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논문데이터베이스가 20여 년 전부터 입자물리학자들이 논문을 올린 아카이브(arXiv)”라며 “최근에는 초당 수 기가바이트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0-8초 만에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그로부터 2년 뒤, 박사학위를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연구원신분이었던 한국인 물리학자 김진의 박사(현재 경희대 석좌교수)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액시온이 우주의 나이보다 수명이 길고, 아주 가벼운 입자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56쪽 사진 참조). 다섯 개의 손가락과 손톱은 물론 손금까지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발간한 책 ‘인류의 가족, 인간의 동반자, 영장류’에 따르면 원숭이도 개체마다 고유한 지문을 가지고 있다. 사람처럼 개체를 분별하는 데 쓰지는 않지만 생존에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 원숭이도 사람처럼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2002년 당시 18세였던 브리트니 갤리번은 종이를 한쪽 방향으로만 n번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길이를 계산했다. 그리고 종이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반 접고, 위에서 아래로 반 접고, 다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접는 양쪽 방향 접기로 여러 번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길이도 공식으로 만들었다. 공식에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는 김용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광자를 제외한 양자 물리계는 결어긋남 현상을 줄이는 게 정말 어렵다”며 “결어긋남 감소 기술이 양자컴퓨터 실현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만약 디웨이브2X가 큐빗 1097개를 이용해 연산을 했다면, ... ...
- [News & Issue]내가 쓴 화장품이…해안을 더럽힌다고?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매우 작기 때문에 다양한 수상 생물이 삼킬 수 있다. 핀란드 해양조사기관의 아우티 세텔 연구원팀은 2014년 2월 ‘환경오염(Environmental Pollution)’에 발표한 논문에서 요각류, 담륜충, 섬모충 등 다양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50% 이상이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지 3시간 만에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했다고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익룡은 진화하는 과정에서 꼬리가 짧아지고 다리 사이에 있던 피부막이 퇴화했다. 그 결과 자유로운 다리를 얻었고, 효과적으로 땅 위를 걸어 다니며 다양한 먹이를 먹을 수 있었다. 땅으로 내려오게 된 익룡들은 어떤 먹이를 먹게 됐을까. 또 어떤 다른 모습으로 진화했을까.프랑스의 남서부에 위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발전하는 것을 느꼈다”고 말했다.그런 의미에서 올해 생물학 분야의 우승자인 리 연구원은 한국 과학자들의 출전을 기대했다. 어릴 때부터 보아나 현아 같은 한국 가수들에게 많은 영감을 받았다는 그녀는 한국의 문화가 매우 창의적이라고 평가했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춤을 추는 것이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