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d라이브러리
"
배터리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한 편을 5초 만에 총알 전송?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동영상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막상 동영상을 내려 받으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배터리
가 빠르게 줄어드는 불편함이 있지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형 칩이 새로 등장했답니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지능형RF연구센터 박철순 교수팀은 무선랜보다 50배나 빨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 ...
새벽기차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한 아름 들고 기차로 돌아와 제 감방으로 들어갔다.그는 다음 정거장에서는 새 오일과
배터리
와 전선을 샀다. 우리는 곧 알게 되었다. 남자는 새 엔진을 만들 생각이다. 지프에 새 심장이 필요한 것이다. 모래를 박차고 빠져나올 만큼 기운 센 것으로. 그제야 우리는 처음부터 사내가 이럴 생각으로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다.코닝이 최근 가장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소재는 리튬이온
배터리
에 쓸 수 있는 세라믹 전해질이다. 전해질을 세라믹으로 대체하면 전지의 크기를 줄이면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 작고 오래 가는 모바일 기기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헤켈 박사는 “이 기술 역시 당장은 ... ...
➌ 박형동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가장 규모가 큽니다.조력발전에는 에너지 저장이 중요합니다.
배터리
문제죠. 리튬
배터리
를 많이 쓰는데, 바다 속에 많은 리튬을 캐내서 농축시킬 때 에너지와 약품이 쓰입니다. 풍력터빈 하나를 만들 때도 터빈의 탄생부터 폐기까지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터빈을 돌리는 동안에는 ... ...
그 많은 발열 의류는 얼마나 따뜻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발열 의류는 섬유에서 열이 나 몸을 따뜻하게 만드는 옷을 말한다. 최근에는 실제
배터리
를 이용해 에너지를 공급, 열이 생기는 섬유도 등장했다. 그러나 히트텍같은 발열 의류를 만드는 섬유는 크게 수증기를 이용하는 흡습발열과 빛을 이용한 광발열 섬유로 나뉜다. ‘대세’라는 히트텍은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있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하지 않아도 혈압이나 혈당을 측정하고, 심장박동조절기의
배터리
를 교환하는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야~.자전거영화관자전거를 타지 않으면 영화를 볼 수 없는 영화관도 있다. 영국 리버풀에 있는 미디어아트관 팩트에서는 2009년에 페달을 밟는 힘으로 전기를 ... ...
2030년 전기로 달린다! 꼬마 전기자동차 붕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하이브리드 자동차란?요즘 TV광고에 많이 나오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와
배터리
가 모두 달려있어요. 휘발유와 같은 화석원료와 전기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배기가스가 10%밖에 배출되지 않지요. 예전에는 높은 가격 때문에 잘 팔리지 ... ...
8년 어과동 캐릭터 총출동 응답하라 2020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9호
저 보고 독특하게 생겼다고 하네요. 하지만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로봇이 나오려면
배터리
와 인공근육, 지능이 훨씬 더 발전해야 한대요. 전자회로와 센서, 디스플레이, 전자부품 같은 다양한 전자재료를 마치 신문을 인쇄하듯 유연한 종이나 필름 위에 인쇄하는 기술이 쓰이기 시작해요. 제작공정이 ... ...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궁금해, 큐리오시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6호
찍을 수 있는 카메라도 두 개 달려 있다.안테나지구와 정보를 주고받는 안테나핵에너지
배터리
플루토늄 238이 핵분열을 하면서 나오는 핵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한다.충격흡수 바퀴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만들어서 65㎝ 크기의 장애물도 거뜬히 넘을 수 있다.드릴이 달린 팔드릴을 이용해 암석을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덕분에 임플란트 시스템의 크기와 무게가 많이 줄어들기는 했다. 하지만 아직도
배터리
장치를 왼쪽 어깨 아래 부위에 삽입하는 수술을 9년에 한 번씩 해줘야 한다.이런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서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 바로 글머리에 소개한 체내 자가발전 시스템이다. 사페쉬카 교수팀이 개발한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