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d라이브러리
"
배터리
"(으)로 총 6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꼭 필요한 스마트 기능도 선보이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
를 충전한다. 일반 가정에서 완속 충전을 할 경우 저렴한 심야 전기 요금을 이용하기 위해 자동으로 야간 충전을 예약하는 기능 등이다.바퀴 넷 달린 거대한 스마트폰스마트폰의 매력적인 기능을 자동차 ... ...
손가락질만 해도 정보가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어떤 물건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기만 하면 그 물건에 대한 정보를 곧바로 휴대전화로 확인할 수 있는 세상이 올까.MIT 미디어랩 패티 마에스 ... 운전자 내비게이션, 어린이 학습도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데이터 처리 용량과
배터리
수명 등을 해결해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전기자동차의 힘은 기계에서 나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합한 기계공학”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주 교수는 “전기자동차의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
인데 실제로 차에서 가장 에너지를 많이 쓰는 곳이 어디일까요”라고 기자에게 물었다. 엔진 아닐까 생각했는데 “냉난방, 즉 에어컨과 라디에이터”라고 한다.“전기자동차의 맹점입니다. 그나마 부족한 ... ...
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환경재료’에서는 화석 에너지 고갈을 해결할 수소 저장 합금이나 연료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효율 향상, 태양광 소재 또는 압력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재도 연구 한다. ‘나노 재료’에서는 물질이 나노(10억분의 1) 크기에서 거시적인 성질과 다른 성질을 나타냄을 이용해 철보다 ... ...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JPL)가 만들었어. 지름 5m에 약 20kg으로 커다란 공처럼 생겼어. 다른 로봇과 다르게
배터리
없이 바람을 추진력 삼아 이동하지. 공처럼 데굴데굴 굴러가기도 하고 통통 튕기며 이동해. 그러다가 탐사지역이 나오면 가스를 빼서 멈춘 뒤, 몸 안에 장비를 이용해 정밀 탐사를 하는 거지. 화성은 대기가 1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초소형기계(멤스) 기술로 몸체를 만들고 탄소나노튜브 소재로 날개를 만들었다. 초소형
배터리
와 모터도 직접 만들었다.박훈철 교수는 올 1월 ‘큰 각도로 날갯짓을 하는 비행체’라는 이름으로 풍뎅이 비행체에 대해 미국 특허를 받았다. 연구팀은 풍뎅이 비행체가 리모컨 없이 1초에 35~38회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저번에 토르가 슈퍼망치 묠니르로 전기를 만들어서 아이언맨을 공격하니까 오히려 수트
배터리
가 충전되더라? 그래서 생각했지. 전기능력을 가진 멤버는 아이언맨이 아니라 토르와 붙여야겠다고 말이야.토르는 천둥의 신이야. 신체 내구력이 워낙 좋은데다가 전투광이라 싸울 때는 피곤함도 느끼지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억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해 온 생물의 에너지 생산 메커니즘을 로봇의
배터리
가 따라올 수 없다”고 설명했다.기존 연구는 자극과 반응으로 동물의 행동을 조절하는 원리에 초점을 맞췄다. 사람이나 동물은 환경이 변하거나 자극을 받으면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때론 경험에 맞춰 행동한다.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진창수 책임연구원이 신개념 ESS인 ‘레독스 플로
배터리
’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배터리
는 전기저장 공간과 전압방출 부분이 분리돼 있기 때문에 액체 탱크만 추가로 연결하면 충전량을 얼마든지 늘릴 수 있다.]이 때는 블랙아웃이 벌어지는 것과 반대의 순서로 전력망을 조금씩 살려 나가야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알게 됐다.카비르가 발견된 초기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전파,
배터리
를 빨리 소모시키는 정도의 불편을 초래했다. 사용자 화면을 해골모양으로 바꾸는 악성코드 ‘스컬스’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 악성코드는 주로 특정서비스나 앱과 연동해 사용자를 속여 원하지 않는 요금을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