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호색 살리는 허리케인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잃은 산호를 다시 아름답게 해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7월 2일자에 실렸다.산호의 아름다운 색은 산호와 공생하는 조류가 낸다. 수온이 올라가거나 물이 더러워지면 산호는 스트레스를 받아 조류를 쫓아낸다. 조류가 떠난 산호는 회색이나 흰색으로 ... ...
인간이 서서 걷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관절을 땅에 끌면서 걸을 때보다 신체 에너지 소모량이 25%나 적다고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침팬지 5마리에게 두발로 걷도록 훈련을 시켰다. 그 뒤 인간과 함께 러닝머신 위를 걸을 때 열량을 얼마나 소모하는지 측정했다. 그 결과 몸무게가 50kg인 인간은 1km를 ... ...
형광단백질이 만드는 빛나는 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개발했으며 이를 야생상태에서 번식할 수있다는 사실을 밝혀 지난 3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발표했다.색 구별만으로 말라리아에 감염될 위험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형광단백질의 유용성 뒷면에는 생명체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04년 ... ...
언어가 색상 인식에 영향 끼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정도)가 다른 파란색을 더 잘 구별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8일자에 발표됐다.연구팀은 보스턴 지역에 사는 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서로 채도가 다른 파란색을 구별하도록 했다. 총 20가지 파란색 가운데 3가지 색을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하단의 파란색 ... ...
흙진드기, 다시 사랑해도 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해온 흙진드기가 조상종이 했던 유성생식을 다시 시작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판 4월 16일자에 발표했다.흙진드기는 크로토니데(Crotoniidae)과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이 출아법과 유사한 처녀생식을 하고 있다. 어미가 낳은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대부분 암컷이다. 간혹 수컷이 ... ...
과학으로 본 오리, 펭귄, 사람의 걸음걸이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가장 잘 어울리는 걸음걸이라는 점이다. 미국 뉴욕대 케리 존슨 박사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호에서 “사람들은 어깨를 흔들며 당당하게 걷는 남자와 골반을 좌우로 흔들며 걷는 여자를 더 매력적으로 느낀다”고 말했다.팔과 다리 엇갈리며 움직이는 이유펭귄은 몸에 비해 다리와 날개가 ... ...
쥐의 뇌를 조종하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박사팀은 기생충에 감염된 쥐가 고양이를 겁내지 않는 이유를 밝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온라인판 4월 2일자에 발표했다.쥐는 고양이의 소변 냄새를 맡으면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간다. 이는 쥐를 포함한 설치류가 천적인 고양이를 피하기 위해 선천적으로 타고난 행동이다. 그런데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사는 미생물이 장 내벽에 모세혈관을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2002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대장균은 영양물질을 발효시키거나 분해해 창고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모세혈관이 많아질수록 장 내벽으로 영양분의 흡수가 잘 일어난다.그는 또 2006년 12월 21일 장에 ... ...
원시인은 우유 먹으면 모두 배탈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요하임 부르거 교수팀과 영국 런던대 마크 토마스 교수팀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6일자에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선사시대 사람들의 유전자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독일, 폴란드, 헝가리, 리투아니아에서 발굴된 약 3800~6000년 전의 인류 8명의 뼈에서 DNA를 추출해 현재 ... ...
'새대가리' 같지 않게 똘똘한 비둘기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비둘기가 1000개 안팎의 그림을 기억한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1월 6일자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비둘기가 기억능력이 뛰어나며 기억에 근거해 행동방법을 배운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조류가 기억능력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몰랐다. ... ...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다음
공지사항